[하도겸의 차 한 잔] 제주 4·3은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2018-04-02 13:37
  • 글자크기 설정

칼럼니스트(문학박사)

2003년 12월 제주 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는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경찰·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당한 사건”이라고 제주 4·3을 정의했다.

제주 4·3을 홀로코스트로 이해하는 천주교 제주 교구장 강우일 주교는 “2차 대전이 끝나고 1945년과 1947년 사이에 6만명 넘는 사람들이 제주로 귀환했다. 제주 치안을 맡은 민간 경찰조차도 일제 경찰을 재고용하니 미 군정에 대한 근원적 불신, 불만들이 폭발한 것이 47년 3.1절 대집회다. 정당방위라는 핑계로 해산하는 아기 업은 아줌마를 비롯한 6명의 민간인 등에 총을 쏜 것이 발단된 제주 4·3사건이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었으며, 아직도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역사 정립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2016년 제주를 찾은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해를 함께했다”고 말했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안정섭) 제주 4·3 70주년 역사유적지 추모 현장 탐방.[사진=하도겸 문학박사 제공]


국가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안정섭, 이하 국공노)이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제주도에서 ‘2018 상반기 노동교육’을 실시하고 제주 4.3사건 70주년을 맞아 의미를 기리는 데 동참했다. 안정섭 위원장은 “제주 4.3 70년을 맞아 준비한 교육”이라며 “사회변혁의 주체인 노동조합 활동가의 소명에 따라 현대사를 되돌아보고 한반도 평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을 바로 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국공노는 이 밖에도 동백꽃 배지 달기 등 제주 4.3의 역사적 위상을 알리고 가치를 공유하는 데 앞장 설 예정이다.

교육 1일차 강연자로 나선 강우일 주교는 ‘4·3에 대한 근원적 성찰’이라는 주제로 제주 사람들이 살아온 현대사의 궤적을 돌아보고 제주 4.3의 철학적 의미를 설명했다. 특히 “홀로코스트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지금까지도 과거의 진실을 알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노력하고 있다. 우리 국민이 제주 4·3사건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깊이 알고 인식을 심화한다면 민주주의 발전에 굉장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강우일 주교가 ‘4·3에 대한 근원적 성찰’이라는 주제로 지난달 28일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초청으로 제주 사람들이 살아온 현대사의 궤적을 돌아보고 제주 4.3의 철학적 의미를 설명했다. [사진=하도겸 문학박사 제공]


동백이 4·3사건 상징의 꽃으로 여겨지기 시작한 건 강요배 화백의 4·3을 다룬 작품 ‘동백꽃지다’를 내놓은 이후부터다. 작품은 흰 눈이 덮인 한라산계곡에서 붉은 동백꽃이 통으로 떨어지는 찰나의 순간을 전면에 배치했다. 그 뒤로 나무숲 멀리 토벌대 무리 속에서 한 사람이 나대를 들고 내리치는 모습과 눈 위에 붉은 피가 흘러내리는 장면이 그려졌다. 제주 4·3에 희생당한 무고한 제주도민을 상징하는 붉게 핀 동백은 새 생명을 잉태하는 생불꽃, 평화와 정의, 부활을 상징하는 환생꽃의 의미도 갖는다.

제주 4·3 70주년을 계기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과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제주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공동 주최하는 ‘제주 4·3 이젠 우리의 역사’ 특별전이 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지난달 30일부터 6월 10일까지 개최된다. 제주 4·3사건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커다란 비극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주만의 아픈 역사로 기억됐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주진오 관장은 “제주4·3으로 희생된 제주도민의 오랜 상처와 아픔이 이 전시를 계기로 화해와 치유의 길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제주4·3이 대한민국의 역사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이 전시를 준비했다”며 전시의 의미를 밝혔다.

제주 4·3은 70주년을 맞는 2018년 평화의 섬 제주만의 역사가 아닌 대한민국의 역사로 승화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갈 헌법 정신으로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