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신규 IoT 전용 사업자 확산 기반 마련한다

2018-03-28 12:00
  • 글자크기 설정

사물인터넷 확산 견인하는 주파수 공급 추진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9일 사물인터넷(IoT)과 초정밀 위치측정(UWB)용 주파수 공급과 기술기준 규제 완화를 위한 관련 법령 개정안 행정예고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 의결된 ‘2020 新산업·생활 주파수 공급 계획’과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의 후속조치이다.
정부는 그동안 다양한 IoT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영상전송이 가능한 고용량 IoT용 주파수 대역(2.4㎓, 5.8㎓대역 등)과 검침, 센싱, 추적 등에 활용되는 저전력·저용량 IoT용 주파수 대역(900㎒ 등)의 공급을 추진하고 기술기준도 지속적으로 개선해왔다.

이번 IoT 주파수 공급 및 규제 개선도 저전력·저용량 IoT용 1㎓이하 대역의 공급과 고용량 IoT용 5.2㎓ 대역(5150-5250㎒) 공급을 함께 추진한다.

먼저 스마트 시티·공장에서 전파간섭 없이 안정적 전파이용이 가능한 1㎓이하 대역을 저전력·저용량 IoT용 주파수로 확보해 공급한다.

1㎓이하 대역은 전파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 장애물을 투과하거나 돌아가는 등 전파신호가 끊김 없이 전달되는 전파 특성이 좋은 대역으로, 현재 이동통신과 방송용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현재 신규 IoT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사업자들이 있으나, IoT 사업용 주파수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상태이고, 스마트 공장·빌딩 등에서 IoT 자가망 구축 수요가 있으나 간섭 없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는 부족한 상태이다.

정부는 전파특성이 좋은 1㎓이하 대역에서 현재 ‘무선 호출’ 또는 ‘공중 무선데이터통신서비스’용으로 분배돼 있으나 미이용중인 주파수 11.7㎒폭의 주파수 용도를 변경해 IoT용으로 확보하고, 향후 신규 IoT 서비스 사업용 또는 스마트 공장 내 자가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연말까지 공급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한 고용량 IoT용으로 활용되도록 5.2㎓대역의 기술규제를 개선한다. 기존에 고용량 IoT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2.4㎓와 5.8㎓대역은 지능형 CCTV와 공공 WiFi 이용 확대에 따라 주파수 대역이 포화돼 속도가 느려지거나 전파혼신으로 통신이 끊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5.2㎓대역을 고용량 IoT에 활용 가능하도록 규제를 개선한다. 현재 5.2㎓는 과거 IEEE 표준에 따라 기술기준이 제정돼 인접대역에 비해 출력이 4분의 1로 낮고, 사용 범위도 실내로 한정되어 있어 이용효율이 낮은 대역이다.

이번 규제개선을 통해 5150-5250㎒대역의 사용범위가 실내에서 실외로 확대되고 출력도 4배 상향(2.5㎽/㎒→10㎽/㎒)된다.

이번 고용량 IoT에 활용 가능한 5.2㎓대역 규제개선을 통해 스마트 시티의 지능형 CCTV 등 영상기반 교통체계 및 생활안전 인프라가 고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정밀위치측정에 활용도가 높은 UWB(Ultra Wide Band)용 6.0-7.2㎓ 주파수도 실내 위치측정용으로 추가 공급된다.

UWB 기술은 450㎒이상의 광대역 주파수 폭을 활용하여 오차 범위 10㎝이하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로, 자동차·전자기기 제조 등 각 부품의 정밀한 위치 측정을 바탕으로 자동조립이 필요한 산업 현장에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3.735-4.8㎓ 및 7.2-10.2㎓ 대역이 UWB용으로 분배돼 있으나, 3.735-4.8㎓는 전 세계적으로 이동통신대역과의 공동사용을 위해 강화된 간섭회피 기술이 적용되고 있고, 7.2-10.2㎓은 도달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어 이용에 한계가 있다. 6.0-7.2㎓대역은 미국·유럽 등에서 UWB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역으로, 이번 공급으로 전파이용의 국제조화를 통해 국내 제조업체의 해외 진출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스마트 시티와 스마트 공장의 핵심 기반이 되는 주파수 추가 공급을 통해 통신사업자 외 IoT 전용 사업자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고, 사물인터넷 활용 혁신적 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해 신산업이 촉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