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잊은 그대에게① 62년전 3월밤 명동서 박인환이 쓴 '세월이 가면'

2018-03-27 10:46
  • 글자크기 설정
1958년 가을, 명동의 막걸리집 ‘은성’에서 박수 소리가 터졌다. 술집 주인 이명숙(86년 작고)의 18세 외아들이 서라벌예대에 합격했기 때문이다. 술을 마시던 시인 변영로(1897~1961)가 술잔을 내밀었다. “영한아, 술 한 잔 받아라.” 쭉 들이켠 뒤 막걸리 잔에서 술 지게미를 바닥에 털던 영한에게 시인이 냅다 뺨을 갈겼다. “이놈, 곡식을 왜 버려?” 영한은 연기자 최불암의 본명이다.

그의 부친 최철은 영화제작자였는데 48년 영화 '수우'의 개봉 시사회를 앞두고 과로로 세상을 뜬다. 어머니는 대한제국 궁내악사를 지낸 분의 딸로 남편을 여읜 뒤 인천 동방극장 지하에 ‘등대’란 음악다방을 운영하다가 명동으로 와서 ‘은성’을 차린다. 단골이었던 소설가 이봉구(‘명동백작’으로 불렸다)는 이곳 풍경을 작품 속에 남겼다.
 

[시인 박인환]


56년 3월 저녁 ‘은성’에 앉은 박인환(당시 30세)은 시를 쓰고 있었다. 쌓인 술빚이 미안해서 시라도 써서 갚자는 마음이었을까.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으로 시작하는 ‘세월이 가면’은 그렇게 탄생한다.

지금 그 사람의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과거는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

               박인환의 '세월이 가면'

언론인 극작가였던 이진섭(1922~83)이 곡을 붙인다. ‘백치 아다다’의 가수 나애심(가수 김혜림의 모친)이 곡을 따라 흥얼거렸다. 나중에 들어온 테너가수 임만섭이 곡을 보더니 열창을 했다. 이날 낮에 망우리에 있던 첫사랑 여인의 묘지에 다녀왔던 박인환은 이 시를 남기고 사흘 뒤 만취한 상태로 숨져 망우리 그녀의 곁으로 갔다.
 

[수필가 전혜린]



64년 1월 9일 수필가 전혜린(당시 31세)은 밤색 밍크 코트를 입고 명동의 ‘은성’에 나타났다. 그녀는 쾌활했다. “국제 펜클럽대회에 나가려고 건강진단을 받았거든. 글쎄 내 몸이 괴물처럼 건강한 거야…. 박인환이 그리워. 가난에 시달리면서 미군 담요로 외투를 만들어 입고 머플러를 휘날리며 시를 읊던….” ‘은성’을 나오면서 전혜린은 친구에게 속삭였다. “하얀 세코날(수면제) 40알을 구했다고!”

거리만이 그리움을 낳는 건 아니다.
아무리 네가 가까이 있어도
너는 충분히, 실컷 가깝지 않았었다.
더욱 더욱 가깝게, 거리만이 아니라
모든 게, 의식까지도 가깝게
가고 싶었던 것이다. 그리움은,

                        전혜린의 '그리움'



이튿날 그녀는 수유동 숲길에서 숨진 채 발견된다. EBS에서 60년대 ‘은성’의 기억을 다룬 ‘명동백작’(2004)이 방영됐고, 혜화동에선 ‘세월이 가면’이란 연극이 올려졌다. 은성도 인환도 혜린도 가버린 명동, 쓰러진 술병 속에서 우는 바람(박인환 ‘목마와 숙녀’중에서)만 돌아와 쓸쓸하고 무표정한 시절을 흔든다.

이상국 아주T&P대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