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21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연임이 확정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일단 신중하게 판단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0∼21일(현지시간)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연 1.50∼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 기준금리(연 1.50%)보다 높다. 이는 2007년 8월 이래 처음이다.
미국이 예상대로 6월에 금리를 올리고, 한은이 4월과 5월 금통위에서 동결하면 상반기에만 금리 차이가 0.50%포인트 벌어지게 된다. 연말에는 최대 0.75%포인트까지 격차가 날 수 있다.
이 총재는 청문회에서 남북 관계 개선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투자 유인이 커지고 자금유출 압력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그럼에도 한미 금리 역전이 장기화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 한은으로서는 다음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문제는 경제 성장세가 금리 인상을 감내할 수 있는지 여부다.
물가 부진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내수 경기 개선으로 수요측면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모습이 약하다는 것이다.
전날 청문회에서도 이 총재는 "당분간 수요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변수는 다양하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일자리 감소, 늘지 않는 중국인 관광객 수 등이 국내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145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도 한은의 금리정책에는 큰 부담이다. 한은이 금리를 올리면 취약계층의 가계 빚 부담이 커질 수 있어서다.
이 총재는 청문회에서 추가 금리 인상은 신중하게 판단하겠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금융시장에서는 상반기 인상을 기대하는 눈치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고 무조건 따라가기보다는 국내 경제 상황, 가계부채 고려해서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많게는 올해 두 번 정도 올릴 것으로 본다"며 5월 인상을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