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베트남은 지난 1992년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26년간 다양한 경제 협력 관계를 맺으면서 상호 교역 규모가 128배로 급성장했다. 지난 16일 베트남 경제 전반 현안을 담당하고 있는 주한 베트남대사관 무역대표부의 팜칵뚜엔 상무관과 만나 '포스트 차이나'로 일컬어지는 베트남과의 관계 확장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각종 제도 통해 사업상 안전장치 제공...'포스트 차이나' 평가"
"큰돈을 투자하셨는데 어느날 갑자기 사업체가 사라진다면 얼마나 불안하시겠습니까. 비단 상대 국가와의 정치적인 문제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느낄 수 있는 부분이죠. 베트남은 조금 다릅니다. 각종 제도를 통해 해외 기업·투자자들이 '보호 받을 수 있다'고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어요. 아직 개선해야 할 점도 적지 않지만 다수 한국 전문가들이 베트남을 두고 '포스트 차이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는 것도 이런 장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과 베트남은 그동안에도 긴밀한 경제 협력이 이뤄졌다. 그러나 한·베 FTA 합의에 따라 일종의 안전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됐다는 것이 팜칵뚜엔 상무관의 설명이다. FTA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체가 법적 보호를 요청할 수도 있어 베트남 내 사업을 원만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유학생, 한-베트남 가교 역할 가능...지원 효과 기대해도"
베트남 당국에서도 해외 기업체을 지원하기 위해 행정 개혁 간소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특히 코트라 등 현지에 파견된 여러 기관들이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수시로 접수, 다수 채널을 통해 베트남 당국과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있다. 좀 더 긴밀한 한-베트남 관계를 마련하는 데 있어 팜칵뚜엔 상무관이 한국 정부에 바라는 점은 무엇일까.
"현재 한국에 머물고 있는 베트남인들은 16만명 정도 됩니다. 대부분 이주 여성과 근로자들이지만 한국으로 유학오는 학생들도 적지 않습니다. 수년간 수학해야 하는 석·박사 유학생들은 결혼했을 경우 육아를 위해 부모와 한국에 동반 체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활 수준이 열악할 수밖에 없죠. 한국 정부가 다문화 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유학생에 대한 지원책도 강화됐으면 합니다.
약 30~40년 전 예전 지도자들은 러시아와 서구 국가 쪽에서 많이 유학하셨잖아요. 그분들이 대부분 현재 베트남 지도자로 활동하고 계시거든요. 이제 젊은 학생들은 미국과 호주, 영국 등 유럽, 한국과 일본 등 유학을 목적으로 선호하는 국가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유학생들은 대부분 자기가 유학했던 국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요. 사실 가난한 시절 도움을 준 국가라면 시간이 지나도 고마운 마음이 계속됩니다. 10~20년이 지나 한-베트남 경제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