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속도 높이는 인도네시아…인구 3억 넘을 땐 소비력 더 커질 듯

2018-03-13 13:40
  • 글자크기 설정

수하르토 독재 시절 낙후된 인프라 회복이 경제성장 운명 결정할 듯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삼성전자가 운영하는 스마트러닝클래스에서 학생들이 코딩 교육 등 다양한 IT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동남아 1위 경제국인 인도네시아의 비상이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슬람협력기구(OIC)는 물론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 중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이들 국가 중 처음으로 1조 달러에 달하는 경제규모를 이룩하면서 빛나는 도약을 했다. 

◆아시아에서 인도, 중국 이은 높은 경제 성장률 
국제통화기금(IMF)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의 경제규모는 1조4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0년간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4.2%를 기록했다. G20 국가 중에서는 터키, 인도, 중국에 이은 높은 경제성장률이다. 특히 지난 4년간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률은 5%를 넘어서면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수출과 국내소비는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의 양축을 담당했다.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의 배경에는 관료주의적인 규제 완화가 큰 도움을 주었다고 외신은 지적했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중복 규제는 외국인 직접 투자를 막아온 가장 큰 장애물이기도 했다. 이 같은 규제 완화에 힘입어 최근 인도네시아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 성장과 견고한 가계 소비의 증가 덕에 인도네시아 경제는 향후 몇년간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최근 주요 금융기관들이 예측하는 인도네시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와 내년 5.4%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총수출은 1687억3000만 달러에 달하며, 수입은 1568억9000만달러로 무역수지 흑자는 118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5년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인도네시아의 가장 취약점이었던 수출까지 점차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제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목소리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2025년까지 인구 3억 달할 듯··· 동남아 대국으로 영향력 커질 전망 

터키 매체인 데일리 사바는 인도네시아의 무난한 국제 관계에도 주목했다. 데일리 사바는 "인도네시아는 OIC 멤버 중에서 주요 분쟁에 휘말리지 않는 국가이며, 미국은 물론 중국과도 무난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지적했다.

2억6000만명의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이슬람협력기구 국가 중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와 아세안자유무역지대(AFTA)에서 많은 인구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구매력'을 바탕으로 더욱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더군다나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2025년까지 3억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 중에서 3분의1 이상이 30대 미만의 젊은 층으로 이뤄지면서 소비시장으로서의 매력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해상 무역의 요지 역할도 하면서 국제 경제 무대에서 점차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이 같은 이점은 인도네시아가 동남아시아에서 보다 영향력 있는 국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지난 2년간 인도네시아 정부는 비생산적이며 부적합한 보조금을 많이 삭감했다. 고소득층에게만 혜택이 돌아가는 연료 보조금 삭감과 조세 사면 등을 통해 적극적인 예산확보에 나선 것은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그동안 인도네시아는 연료 보조금으로 많은 예산을 지출해 왔으나, 자동차도 없는 서민들이 받는 혜택은 없었다. 이에 조코위 대통령은 과감히 보조금을 없애며 상당한 금액의 예산을 확보하게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외국인 직접투자와 중국의 차관을 기반으로 인프라와 관련된 투자를 늘리는 정책은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의 운명을 가르는 일이 될 것이라고 외신은 지적했다. 인도네시아는 수하르토 전 대통령의 32년 독재 기간은 물론 이후 정권에서도 도로와 철도, 항만, 공항 등 인프라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풍부한 자원과 거대한 내수시장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경제성장을 이루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처럼 경제 성장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다른 개발도상국과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도 빈부격차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외신은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