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하한담冬夏閑談] 난세(亂世)와 봄

2018-03-06 06:00
  • 글자크기 설정

박연호 전통문화연구회 회원

봄이 남녘을 출발, 북상하고 있다. 그러나 그 행군 가도가 순탄치 않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안다. 퇴각하는 겨울 잔당의 저항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때쯤 사람들 입에 많이 오르내리는 시가 ‘봄을 찾아(심춘·尋春)’이다. 작자가 송(宋)나라 대익(戴益)이라느니 무명의 당나라 여승이라는 등 분분하고, 표현도 판본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핵심은 크게 다르지 않다.

“종일 봄을 찾아 헤맸으나 구경도 못하고(終日尋春不見春/종일심춘불견춘)
짚신 닳도록 산언덕 구름만 밟고 다녔네(芒鞋踏破嶺頭雲/망혜답파영두운)
돌아오는 길 매화나무 지나다 보니(​歸來適過梅花下/귀래적과매화하)
봄은 정작 그 가지 끝에 한창이더라(春在枝頭已十分/춘재지두이십분)”

진리나 참된 가치는 먼 데 있는 게 아니고 바로 가까이 있다는 선시(禪詩)지만 서정적인 면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시다. 꽃샘추위 등이 아무리 길을 막아도 결국 봄은 오고야 만다는 희망을 말하기 때문이다.

어지러운 우리 사회, 특히 서민들이 갈망하는 봄도 이처럼 올 것인가. 북한의 핵을 비롯한 전쟁위기, 실업난, 물가고 등 숱한 사회모순과 갈등이 우리를 옥죄고 있는데 풀릴 기미가 잘 보이질 않는다.

게다가 정치권은 무뇌아 집단 같다. 이런 난세(亂世)에 민심을 안정시켜주어야 할 여야 모두가 국민 속이나 뒤집기 일쑤다. 수세기 동안 망국과 분단으로 국가와 국민을 고통 속에 몰아넣은 과거 위정자들의 어리석음과 진배없다는 불만과 우려가 끊이질 않는다.

자연의 봄은 길이 아무리 험해도 매화나무 가지에 슬그머니 내려앉듯 결국은 온다. 우리의 봄도 그렇게 와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현재 정치권 그릇이나 역량으로 보면 그런 기대와 희망을 갖기 어려워 곳곳에서 신음소리만 깊어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