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이동 초광대역 서비스 관련 특허 출원 활발

2018-02-11 12:00
  • 글자크기 설정

[자료= 특허청 제공]


5G 이동통신 규격에 대한 국제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5G 이동 초광대역(eMBB) 서비스 관련 특허 출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3년, 2014년에 각각 16건, 27건에 불과했던 5G 이동 초광대역 서비스 관련 특허 출원은 2015년에 133건이 출원돼 전년도에 비해 무려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에도 191건이 출원됐다. 
세부 기술별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초고주파 대역 빔포밍 및 공간 다중화 기술이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도 다중 접속 및 파형 기술이 17%, 셀 소형화 기술이 16%, 간섭 제어 기술이 10%, 이중화 기술이 8%, 기타 기술이 17%를 각각 차지했다.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 기업의 출원이 62%로 가장 많았다. 국내 대학 및 연구소가 32%, 해외 기업 및 연구소가 6%를 차지해 국내 기업이 해당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이 5G 이동 초광대역 서비스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을 수행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동환 특허청 이동통신심사과장은 "5G 이동 초광대역 통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5G 이동 초광대역 기술을 선점하고 시장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관련 특허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