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2/08/20180208191520235243.jpg)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북한 선수단의 공식 입촌식이 열린 8일 오전 강릉선수촌에서 북한 선수단이 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어울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따낸 메달의 경제적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
현대경제연구원 정민·백다미 연구위원이 8일 내놓은 '평창올림픽 금·은·동메달의 의미' 보고서에 따르면 평창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함으로써 발생하는 무형의 경제적 가치는 최소 약 1760억원에서 최대 약 26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의 편의를 위해 금·은·동메달은 모두 같은 가치를 가진다고 가정했다.
한국 선수의 메달 획득에 따른 기업의 이미지 제고 효과는 120억∼200억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메달 결정 경기당 투입되는 총 광고비가 약 100억원이라고 추정했을 때 광고비 지출의 약 1.2∼2배까지 매출 증가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국가 브랜드 홍보 및 국격 상승효과는 1480억∼1720억원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들이 올림픽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회 후 시설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 창출, 평창의 국제화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