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1.2조원 매출 올린 세계일류소재…정부, 올해 후속사업 기획

2018-02-08 11:10
  • 글자크기 설정

8~9일 부산 벡스코서 '세계일류소재 성과 전시회' 열려

8년간 민간투자 5조원 통해 신규 고용창출 6232명

민간투자 5조원·매출 1조2000억원·신규 고용창출 6232명·10개 중소기업 중견기업으로 성장

세계일류소재(WPM; World Premier Materials) 사업이 지난 2010년 9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8년간 올린 성과다.

정부는 올해 WPM 후속사업을 기획하는 등 고부가·첨단·융복합 신소재와 부품에 대한 기술개발과 상용화 지원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8~9일 이틀 간 부산 벡스코에서 '세계일류소재(WPM) 성과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계일류소재 사업은 지난 2010년 9월부터 2019년 3월까지 9년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거나 시장창출을 위해 미래 유망 10대 핵심소재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10대 핵심소재는 ▲스마트 강판소재 ▲초경량 마그네슘소재 ▲나노카본 복합소재 ▲지능형 멤브레인소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소재 ▲고성능 이차전지소재 ▲바이오 메디칼소재 ▲초고순도 SiC소재 ▲슈퍼사파이어 단결정소재 ▲프리미엄 케톤소재 등이다.

현재 10개 사업단을 중심으로 164개의 수요·개발기업 및 대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성과를 살펴보면 정부는 지난해 말까지 10개 소재개발에 약 5000억원을 지원해 620건의 특허등록과 약 5조원 규모의 순수 민간투자가 이뤄져, 사업화 초기단계임에도 조기 상용화를 통해 직접 매출 1조1874억원, 신규 고용창출 6232명의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총 164개 참여기업 및 대학 중 사업 초기에는 중소기업이었으나 현재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은 총 10개, 중소 ·중견기업이 전체 매출 중 74%를 차지하는 등 소재전문 중소기업의 성장에도 크게 기여했다.

이인호 산업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산업지형 자체를 바꾸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소재부품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부가가치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가시적 성과 창출에 매진해 달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