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고 낙후된 골목길에 숨결 불어넣는다… 서울시, '골목길 재생사업' 본격화

2018-02-08 10:11
  • 글자크기 설정

용산‧성북 2곳 시범사업, 주변 주거지 소규모 재생

주거환경이 양호한 종로구 혜화로 2길 등.[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삶의 공간인 좁은 골목길을 일과 놀이가 어우러진 곳으로 탈바꿈시킨다. 용산구와 성북구 2곳을 시범대상으로 정해 도시개발에서 소외된 주거지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골목길을 따라 1㎞ 이내 현장밀착형 소규모 방식의 '선' 단위 개념을 새로 도입한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시는 역사문화적 숨길은 보존하면서 낙후된 환경을 개선코자 한다. 또 공동체 되살리기에 힘쓴다. 아울러 주민 주도로 담장 낮추기, 골목마당 공유, 내집 수선하기 같은 사업도 병행해 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8월 착수한 '서울형 골목길 재생 기본계획' 용역을 내달께 마무리하고, 5월까지 골목길 재생사업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6월 자치구 공모를 통해 사업대상을 추가 선정한다.

시는 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용산구·성북구 2곳 골목길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해 주민주도로 진행한다. 지역별로 주민, 자치구, 지역전문가와 현장설명회, 심층면접, 객관적 실태분석 등을 거친다.

용산구 후암동 두텁바위로 40길(길이 430m, 일제강점기 구릉지형)은 남산과 인접했고 주거환경개선지구 사이 경사로에 마치 협곡처럼 위치했다. 활터골 경로당을 중심으로 골목전망대, 마을텃밭 등을 만들어 공동체 형성 및 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는 목표다.

성북구 성북동 선잠로2길(길이 800m, 폭 0.6~2m)은 조선시대 구릉지에 자연적으로 발생했다. 작년 주택재개발구역 해제지역으로 빈집이 10여 가옥에 이른다. 허물어져 가는 높은 담장을 낮추거나 막다른 골목 3~4채 가옥이 대문을 여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현재 서울에 남아있는 폭 4m 미만 골목길은 그동안 최소한의 행정개입만 이뤄져 매우 위험하고 주거환경이 열악하다"며 "자연지형, 역사와 문화, 시민의 흥미로운 삶을 담아내는 공간이 되도록 서울형 골목길 재생 프로젝트가 촉매제 역할을 적극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