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2/07/20180207173417383092.jpg)
앞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별 질병예측·상담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7일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특위 운영방향·핵심프로젝트 추진방안 등을 담은 운영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특위는 4차산업혁명을 견인할 수 있는 헬스케어분야 핵심프로젝트를 분야별로 선정했다. 민간주도·정부조력을 통해 △구체적 사업모델 마련 △시범사업·시스템 구축 △제도개선방안 등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민간위원이 제안한 ‘(가칭)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구축’ 과제를 핵심프로젝트로 선정됐다. 개인동의 하에 수집된 데이터기반의 개인별 질병예측·상담 등을 제공해 국민건강 질 향상에 기여하는 등 민간주도 접근을 통해 사업화가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활용 가치를 검증하는 모범사례를 만들어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헬스케어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 스마트 신약분야는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재창출 기반 조성 △스마트 임상센터 구축 과제를 민간중심으로 논의한다.
스마트의료기기분야에서는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의 특성을 고려, 신속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 관련 제도 개선과 사용경험 확대, 구매촉진 전략 마련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계부처에서 추진중인 빅데이터 시범사업, 감염병·정신건강·만성질환 등 사회문제해결형 과제, 신약․의료기기관련 주요 기술개발과 제도개선 과제 등도 특위에 보고됐다.
박웅양 특위 위원장은 “헬스케어분야 주요 논의과제는 과제성숙도에 따라 프로젝트팀을 구성해 매주나 격주 논의를 통해 추진방안이 마련되거나, 관계부처 등의 보고안건을 심의하는 형태로 추진될 계획”이며 “특위 운영기간(1년)동안 논의된 프로젝트별 추진방안을 종합해 헬스케어 발전방안을 연내 발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