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는 관계부처와 5대 과기특성화대학 총장,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19명)됐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과학기술 인재육성 방안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위원회 산하에 △교육·연구 △기술사업화·창업 △경영·지원체계 등 분야별 작업반을 통해 세부의제를 설정했다. 위원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올해 하반기까지 실행방안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첫 회의에서는 과학기술 인재상의 도출경과와 향후 계획을 보고하고, 각 대학의 과학기술인재육성 철학과 방향, 신학기 대표 추진과제들을 공유한다. 각 과기특성화대학별로 추진되는 대표적인 신학기 과학기술인재육성 프로그램은 △과기특성화대학 4차 산업혁명 온라인 공개 강좌 공동 운영 △융합기초학부(무학과트랙) △온라인 강좌와 연계한 오프라인 창업 프로그램 개발 제공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교육 이수 의무화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운영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교과목을 개발 및 교육 이수 의무화 △기술기반의 국내외 우수 스타트업 기업에 학생 파견 등이다.
KAIST는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기초학부(무학과트랙)를 학생들 의견을 수렴해 2018년 상반기 중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융합기초학부는 학생들의 융합·협업역량을 키우기 위해 기초교육을 강화하고, 적성과 진로계획에 따라 개인별 맞춤형 모듈식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GIST는 재학생의 인공지능·소프트웨어교육 이수를 의무화한다. C언어‧Python 등 소프트웨어 개발 시 필수적인 컴퓨터언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실무능력, 알고리즘 개발 능력을 키운다. 이와 함께 체계적인 창업 이론과 교육, 현장실습을 제공하는 창업 부전공 과정을 신설한다.
DGIST는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인 '비슬벨리 스타트업 프로그램(BSP)'을 정규과목으로 편성하고, 재학생의 융합적 사고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등 관련 신규 교과목 5개를 개설한다. 또한 졸업학점을 147학점에서 140학점으로 줄여 재학생들의 보다 창의적인 대외 활동을 장려할 계획이다.
UNIST는 전 학부생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편하고 관련 교육 이수를 의무화한다. 기술기반의 국내외 우수 스타트업 기업에 학생을 파견해 창업생태계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창업 스타트업 인턴십도 운영한다.
이진규 1차관은 “과기특성화대학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하고,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과학기술인재육성 방향과 철학을 함께 공유해 우수 프로그램의 상호 벤치마킹, 공동 프로그램 운영 등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할 고급과학기술 인력양성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