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2/07/20180207091432393020.jpg)
유캐스트와 ETRI 연구진이 ETRI SW 가 포함된 배낭형 기지국을 메고 PTT 서비스를 시연하는 모습.[사진=ETRI]
야구장이나 축구장처럼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서는 스마트폰 통화나 통신이 쉽지 않다.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는 소형셀 기지국 SW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2016년 LTE 소형셀 기지국 SW개발 성공에 이어 LTE-TDD 기술과 이중연결성이 지원되는 SW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LTE-TDD기술은 상향(Uplink)과 하향(Downlink)의 비율을 시간으로 나눠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또 이중연결성이 지원되는 SW기술은 향후 5G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LTE-A 프로(Pro)기술이라 불리는데, 사용자가 두 개의 기지국을 동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5G에서는 4G와 5G 기지국을 동시 연결해 사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연구진은 추가적으로 기지국간 간섭을 제어해 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사용자의 전송 속도를 높여주는 향상된 간섭제어(eICIC)기능, eMBMS 기능도 개발했다. 또 소형셀 기지국 SW를 검증하는 시험환경기술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ETRI가 개발한 LTE-FDD·LTE-TDD SW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이 가능한 모델이며 연구진은 4건을 기술이전 했다. 임시 LTE망을 구성할 수 있는 반경 수백m ~ 수Km 거리에서 배낭형태 기지국으로 상용화도 가능할 전망이다.
연구진은 과거에는 소형셀의 가입자 수용이 8명 정도였는데 이를 8배 늘려 64명이 동시접속도 가능케 만들었다. 기존 방식에서는 FDD방식만 사용이 가능했는데 이를 TDD방식까지 넓혔다.
이 기술은 향후 사람이 많이 모이는 경기장, 백화점, 재난지역, 군통신 등 트래픽이 급증하는 곳에 적당하며 실내·외 건물 벽이나 전봇대, 통신안테나 등에 마치 무선랜 AP처럼 척척 붙이거나 배낭을 메고 다니면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정현규 ETRI 5G기가서비스연구부문장은 “이번 기술로 LTE 소형셀 기술 독립을 원하는 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5G 이동통신 스몰셀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재학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동통신 PM도 “소형셀 기지국 SW기술이 국산화되어 중소기업의 효과적 활용이 예상되며,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5G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