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육류 소비 급증에 대비해 오는 22일부터 2월 10일까지 3주간 도축장 개장 시간을 오전 7시로 앞당기고, 주말인 1월 27일, 2월 3일과 10일에도 도축작업을 실시한다.
지난해 시 도축통계를 보면 평상시 관내 도축물량은 하루 평균 소 54마리, 돼지 1410마리이지만, 명절 성수기에는 소 120마리, 돼지 1800마리로 도축물량이 약 54% 급증한다. 올해는 청탁금지법 개정이 공식화됨에 따라 농축산물 선물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안전한 축산물 공급을 위해 도축검사관을 추가 파견, 도축검사를 더욱 철저히 하기로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1/17/20180117093205180183.jpg)
도축검사관이 소 도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육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사진=인천시 제공]
도축시설 위생검사는 물론 출하 가축의 철저한 생체·해체검사를 통해 인수공통감염병, 질병 이환축, 식용 부적합 도체 등을 전량 폐기하고, 항생제 잔류검사와 살모넬라균 등 미생물검사도 강화해 부적합 식육의 유통을 완전 차단할 방침이다.
또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의심 가축이 도축·유통되지 않도록 생체·해체 검사를 철저히 해 의심스러운 가축 발견 시 작업 중단과 함께 철저한 방역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소의 경우 연간 도축 마릿수의 약 27%에 달하는 물량이 명절 성수기에 집중 소비된다”며 “설맞이 도축장 작업 시간 연장 및 휴일 개장으로 축산물 공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시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식육의 안전성 확보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