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생활문화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다른 모임과 함께해본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경험이 없는 경우가 3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49.2%는 교류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17일 발표한 ‘경기도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 정책방향’ 보고서를 보면 도내 생활문화센터 10개소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생활문화센터 이용자들은 교류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전시회 공연 축제 등의 개최(39.2%) △참여자 간 교감 소통 공감 및 친목(38.9%) △전문성 향상 정보 공유 홍보 등을 위한 네트워크(37.5%) 등이 주로 지목됐다. 생활문화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다.
다른 모임과 교류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에 대해서는 ‘기회가 있어도 시간의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높아(문화센터 이용자 30.1%, 축제 참여자 37.9%) 시간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네트워크 등 다양한 방식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도 31개 시⋅군의 생활문화 지원 사업을 살펴본 결과 61.8%가 ‘예술’을, 26.7%가 예술을 포함한 ‘문화예술’을 지원범위로 제시했다. 도내 생활문화센터 이용자 및 경기생활문화플랫폼 축제 참여자 대상 인식조사 결과에서는 ‘예술분야’를 생활문화 장르로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43.4%, 33.3%) 생활문화 지원사업 및 생활문화 장르에 대한 인식이 ‘생활예술’에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다.
김성하 경기연 연구위원은 “문화와 예술을 어떻게 구분하고 정리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다”며 “도는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생활예술’과 ‘예술 외 생활문화’로 구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활문화는 주민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즐기는 문화를 의미하며 개인과 개인, 개인과 공동체, 공동체와 공동체 간 협력과 소통이 가능하도록 해준다”며 “생활문화의 진흥은 곧 지역문화 진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