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1/01/20180101135448978156.jpg)
2017년 주택 시장 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변동률 추이.[그래픽=한국감정원 제공]
지난해 전국 아파트값이 금리 인상과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보였다.
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맷값은 전년 대비 1.48%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연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을 지역 별로 살펴보면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2.36%와 0.68%를 보이며 전년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이외 지역은 △세종 4.29% △서울 3.64% △강원 2.4% △부산 2.35% △경남 -1.62% △울산 -1.08% △경북 -0.9% △충남 -0.53%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세 시장은 전체적으로 신규 주택의 공급량 증가로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면서 전년 1.32% 대비 낮은 0.63%를 기록했다. 학군이 좋은 지역은 여전히 실거주 수요의 문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봄·가을 이사철에 상승폭이 다소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지역 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1.4% 상승한 반면 지방은 0.07% 하락했다. 서울이 2.03%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인 가운데 △강원 1.82% △전북 1.52% △대전 1.48% △세종 -7.5% △경남 -2.66% △경북 -1.23%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값은 0.11% 상승한 반면 전세가격과 월세가격은 각각 0.03% 떨어졌다.
아파트값은 재건축 사업 등 호재가 있는 일부 지역에선 국지적으로 상승했으나 기준 금리 인상과 오는 4월 시행이 예고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으로 인해 전달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전세가격은 가을 이사철이 끝남과 동시에 전국적으로 새 아파트 입주량이 늘어남에 따라 광주시와 세종시를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상승세가 약화되거나 하락하며 2012년 9월 상승세로 전환한 이후 5년 3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