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26/20171226182952751684.jpg)
[사진=아주경제 DB]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합동으로 서울 일대 '빌라촌' 도시재생 사업 추진에 나선다.
이는 국토부가 서울시의 빌라 밀집지역에 대한 정비 필요성을 먼저 제안해 추진되는 것으로, 중앙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과는 별개로 진행된다.
서울시가 빌라 밀집지역의 다양한 재생 모델을 만들어 제시하면 국토부는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 제도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양측은 내년 중 빌라 밀집지역 주거환경관리사업 지구를 지정해 재생 시범사업을 벌인다.
1980년대 이후 은평구, 송파구, 강서구, 양천구 등지를 중심으로 빼곡히 형성된 지상 4~5층 규모의 고층 다가구·다세대 주택이 대상이다. 이들 빌라촌은 30년 이상 된 노후 주택이 많아 화재 등 재난에 취약하고 주거환경도 열악하다.
과거 지어진 빌라 밀집지역은 노후화가 심각하지만 개발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밀도가 워낙 높아 기존 재개발, 재건축 방식으로는 사업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율주택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소규모 정비사업도 있지만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이제 조합이 설립되는 등 시작한 단계이고 자율주택정비사업은 내년 2월 시행돼 아직 그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시범지구를 해보자고 제안했고, 앞으로 논의하자고 한 단계"라며 "필요성을 인식한 상태이긴 하지만 아직 합의된 것은 없다. 앞으로 연구 검토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최근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68곳을 선정하면서 서울시는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다는 이유로 제외한 바 있다.
국토부는 서울시의 차기 사업지 포함 여부 등에 대한 입장을 내년 초 발표할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에서 드러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