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온라인으로 실시한 '2017년 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만481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는 지난 9월부터 10월 말까지 실시한 결과다.
최근 세종시교육청에 따르면 조사대상 학생 중 94.6%인 2만3462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이중 학교폭력 피해를 당한 적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250명(참여 학생의 1.07%)으로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신설 및 전입학생의 증가로 조사 참여학생이 전년 대비 3643명이 늘었음에도 감소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피해 유형별(건수 기준)로는 언어폭력(37.4%)이 가장 높았고, 집단따돌림(15.3%), 스토킹(12.6%), 신체폭행(11.5%), 사이버 괴롭힘(9.4%), 금품갈취(5.4%) 순으로 전년과 동일한 것으로 좌사됐다.
피해 시간은 쉬는 시간(35.1%)이 가장 많았고, 점심시간(18.6%), 하교시간 이후(12.1%) 등의 순으로 학급단위 예방교육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해응답현황은 90명(0.4%)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비율이로 진행됐으며, 학교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675명(2.9%)로 전년대비 0.9%가 감소했다.
가해자의 유형은 같은 학교 같은 반 학생이 61.2%, 같은 학년 학생이 22.8%로 전체 학생의 84%를 차지해 또래상담, 학생자치활동, 동아리 활동을 통한 예방활동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유득근 학생생활안전과장은 "학교신설과 학생전입으로 학생 간 갈등과 다툼이 학교폭력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원만한 교우관계 정립에 중점을 두고 언어문화 개선 사업과 현장지원단 운영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며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와 유관기관과 협조체계 구축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