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04/20171204081425311500.jpg)
[사진= 사람인 제공 ]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업무 중 ‘딴짓’인 '공허노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712명을 대상으로 업무 중 ‘공허노동’에 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업무 시간외에 ‘딴 짓’을 하는, 이른바 ‘공허노동’을 하는지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 80.6%가 '공허노동을 한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하는 딴짓으로는 ‘인터넷 검색’(81.4%,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메신저’(36.9%), ‘커피 등 티타임’(32.4%), ‘인터넷 쇼핑’(24.9%), ‘동료와 잡담’(21.1%), ‘흡연’(18.3%) 등을 꼽았다.
공허노동으로 보내는 시간은 ‘1시간~2시간 미만’(31.9%)가 제일 많았다. ‘30분~1시간 미만’(25.6%), ‘30분 미만’(18.5%), ‘2시간~3시간 미만’(14.5%) 등의 순이었다.
공허노동을 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 대다수가 ‘머리를 식히기 위해’(65.7%, 복수응답)와 ‘업무 중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39%)를 가장 큰 이유로 밝혔다. ‘할당 업무가 끝나도 정시 퇴근을 할 수 없어서’(28%), ‘업무량이 적어서’(18.6%)가 그 뒤를 이어 공허노동을 할 수 밖에 없는 조직 문제도 원인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46.5% 는 ‘공허노동’이 쉬어갈 수 있어 집중력을 높인다고 답했다. 스스로 업무 생산성은 ‘80점’(32.7%), ‘70점’(23.7%) 정도라고 응답한 이들이 가장 많았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업무 중 잠깐의 휴식은 머리를 식히거나 새로운 아이디어의 근원이 될 수 있지만 빈번한 공허노동은 조직은 물론 스스로에게도 해가 될 수 있다”며 “근로자 스스로 자신의 일에서 기쁨과 보람을 찾으려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