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뷰티산업 육성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도 소재 뷰티제조업(화장품) 분야 100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7%가 수출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현재도 수출을 하고 있는 업체는 41%로 나타났으며, 현재 수출을 하고 있거나 계획 중인 해외시장으로는 중국(34.2%) 동남아시아(27.6%) 미국(25.0%) 순이었다.
수출 활동 및 계획 시 애로사항으로 글로벌경기침체와 사드 등으로 인한 해외시장위축(5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거래처 발굴문제(38.2%)와 무역전문인력·마케팅인력 부족(30.3%)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업체 가운데 독자적 연구개발(67%) ·산학연 연계개발(6%) 등 연구개발을 하는 비율이 73%로 제품개발 주기가 짧은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개발 참여업체의 연간 연구개발비가 평균 7천7백만원에 불과했으며 응답업체의 92%가 연 매출액이 120억원 이하인 소기업에 해당할 정도로 대다수가 영세한 규모였다.
뷰티산업 중장기 중요 과제로 △경기도 뷰티산업 지원센터 설치 △연구개발 및 해외시장 관련정보의 효율적 수집‧전달체계 구축 △제품 평가‧임상시험 지원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인증 지원사업 지속 △마케팅 역량 제고 지원 △원스톱 수출지원서비스 체계 구축 △우수인력 유입촉진을 위한 우량 뷰티기업 홍보사업 △화장품 분야 하도급 불공정거래 실태조사 등을 제시했다.
뷰티산업 발전을 위한 시책과제 예산으로 앞으로 5년간 약 359억원의 투자를 제안했다. 세부사업별로는 현재 킨텍스가 주관하고 있는 ‘해외 한국 화장품 전시회 개최 및 참가지원 사업’에 약 80억원, 핵심 전략과제에 해당하는 ‘원료, 평가 ·인증, 용기·포장 등 중간투입요소 부문 육성’을 위한 제품개발과 소재은행 구축운영 등에 약 32억원을 소요예산으로 제시했다.
신기동 경기연 연구위원은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일관적이고 지속가능한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선결조건"이며 "경기도 뷰티산업 지원센터의 설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