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근로자 5명 중 1명은 100만원 가량의 월급을 받았으며 청년층 일자리는 감소한 반면, 고령층 일자리는 크게 늘어나는 등 계층별·분야별로 극과극의 일자리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자료에 따르면 전체 일자리는 2323만개로 전년 2301만개보다 22만개 가량 늘었다.
임금근로 일자리는 1912개이며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411만개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은 32만개의 일자리가 늘었지만 대기업은 오히려 일자리를 9만개 줄인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일자리 상황을 보였다.
규모별로 보더라도 50인 미만인 기업에서 전체 일자리의 절반 이상인 1216만개(52.4%)를 제공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은 겨우 27.9% 규모의 일자리를 채워놓았을 뿐이다.
산업별로도 476만개(20.5%) 일자리를 가진 제조업 분야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졌다.
도매 및 소매업 303만개(13.0%), 건설업 209만개(9.0%) 정도이며 나머지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일자리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일자리 증감 현황을 보면, 청년층은 일자리가 줄어드는 반면, 고령층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9세 이하 -19%, 20대 -0.4%, 30대 -2.8% 인 것과 달리, 50대와 60대는 각각 3.2%, 10.7%의 증가률을 보였다. 청년과 고령층의 끼인 세대인 40대 역시 0.9% 감소세를 나타냈다.
남녀 성별에 따른 일자리 분포 역시 기울어지긴 마찬가지다.
남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1377만개(59.3%)인데 반해 여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946만개(40.7%)로 나타났다. 더구나 지속일자리는 남자가 60.7%, 여자가 39.3%로 성별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남녀간 소득을 보면, 남자의 평균소득이 327만원에 달하지만 여자는 209만원에 그쳤다. 남자가 여자보다 1.5배 이상 번다는 의미다.
여기에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이 281만원이었으며 중위소득이 209만원인 가운데 전체의 20.1%가 중위소득의 50% 미만의 월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월소득 105만원 미만의 근로자가 전체 5명 가운데 1명꼴로 나타난 셈이다.
일자리 수요와 소득규모에서 계층별, 산업별 불균형이 심화된 데는 경제 침체를 비롯해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 자체가 편중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추상적인 경제성장 기조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데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민간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소득을 높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해야 하지만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정부의 정책이 분산된 면이 있다”며 “여기에 대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부족했던 점 등은 새 정부 들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