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1/07/20171107142047237773.jpg)
2017년 사회조사결과[자료=통계청]
가계 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재정상황이 나빠지면, 10가구 중 6가구는 외식부터 줄이겠다고 답했다. 또 경제활동 종사자 중 절반가량은 자신의 소득 수준에 만족하지 못했다.
실직 등 불안한 일자리로 노후 소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민의 절반이 국민연금에 기대는 실정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경제정책의 핵심에 '소득주도 성장'을 두고 있지만, 천문학적으로 증가하는 가계 부채에 불안정한 일자리로 인해 노후는커녕 살림살이 걱정에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7년 사회조사결과'를 보면, 19세 이상 가구주 중 재정상황이 악화될 경우 가장 먼저 외식비를 줄이겠다는 응답이 63%를 기록했다.
이어 식료품·의류비(40.8%), 문화여가비(38.9%) 순으로 지출을 줄이겠다고 답했다.
윤연옥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은 "요즘 외식문화가 발달하면서 외식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가계 상황이 어려울 경우 고정지출이 아닌 외식비를 줄이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소득이 있는 19세 이상 인구 중 46.0%는 자신의 소득이 '불만족'하다고 응답했다. 이 중 13.2%가 '매우 불만족', 32.8%는 '약간 불만족'하다고 답했다. 반면 소득 수준에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를 조금 넘는 데 그쳤다.
취업자 10명 중 6명은 실업, 해고 등 고용 안정성에 불안을 느끼고 있었다.
고용불안이 커지면서 청년들이 비교적 고용 안정성이 큰 공기업, 대기업을 선호하는 현상도 고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13~29세 청년들은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으로 '국가기관'(25.4%)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공기업'(19.9%)', '대기업'(15.1%) 등의 순이었다.
19세 이상 성인 인구 중 30%는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국민의 절반은 노후 준비를 위해 국민연금에만 의존하고 있었다.
60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7명은 본인 및 배우자가 생활비를 직접 마련했다. 또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있고, 앞으로도 따로 살겠다고 답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 2만5704표본 가구에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9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16일부터 보름여간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