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부총재는 3일 서울대에서 개최된 '한은·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 국제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윤 부총재는 "경기와 물가 간의 관계에 관한 정확한 이해는 통화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경제주체들과 원활한 소통을 해나가는 데 있어 중요하다"면서도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에 안착시키는 과제와 거시경제·금융시스템 안정화 도모 과제 사이에서 정책선택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통 경기가 살아나면 금리를 인상하지만 물가상승률이 목표에 미달하는 상황을 빗댄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 불안정에는 금리를 올려서 대응하고, 물가상승률이 낮을 땐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끌어올린다는 처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물가는 금융위기 이후 크게 낮아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기와 물가간의 관계약화 현상(미씽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우리나라만 해도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여건 호조 등에 힘입어 경기가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수요측 물가상승압력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상승률은 1%대 중반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저물가가 지속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윤 부총재는 기업간 경쟁심화, 노동시장 구조변화, 물가안정기조 정착 등으로 임금과 가격 결정에 있어 경기상황을 반영하는 정도가 과거에 비해 낮아졌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장기간의 저인플레이션으로 기대물가 수준이 낮아지면서 실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아울러 유통혁신과 기술진보 등 공급충격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약화시키고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반면 경기와 물가간 괴리가 고착화된 현상이 아니라는 견해도 전했다. 경기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시 축소될 수 있다거나 경기와 물가간 파급시차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 부총재는 "이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인플레이션 동학의 변화 여부와 그 원인에 대해서는 향후 경기개선이 견조해지는 과정에서 수요압력의 증대 여부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을 관찰하며 후속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으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