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경영연구소 백충기 수석연구위원·김민준 책임연구원은 31일 '인구구조 변화와 동남권의 과제' 연구보고서를 통해 "올해 들어 동남권은 전체 인구에서 만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4%를 넘어섰다"며 "고령화 현상이 전국보다 빠르게 진전되면서 2024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31/20171031143346417584.jpg)
[자료= BNK금융연구소 제공]
이는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12년 이후 1%대의 저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오는 2019~2025년에는 연평균 0%대로 낮아지는 성장 절벽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오는 2040년 사이 은퇴시기에 접어든 동남권의 장년층(50~64세)은 12.4%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국보다 4배 높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장년층의 고용 비중이 높은 사업지원서비스업, 부동산 및 임대업, 운수업, 숙박·음식점업 등을 중심으로 인력부족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고령인구의 증가는 소비둔화로 이어지면서 교육·주택 등 경제사회 전반의 활력을 둔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득과 지출이 줄어드는 60대 이상 인구는 늘어나고 경제활동이 왕성한 40대, 50대 인구는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고령층의 총소비 규모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층의 지출 규모가 적지만 고령인구의 절대 규모가 증가하면서 전체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는 영향이다.
보고서는 "과거와 달리 적극적인 소비활동을 하는 액티브 시니어가 부상하는 점은 새로운 기회요인"이라며 "맞춤형 문화·관광 콘텐츠를 적극 발굴하고 관련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구축헤 시니어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한 때"라고 조언했다.
백충기 수석연구위원은 "고령화가 과거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는 점을 감안할 때 경제성장세 둔화 압력도 높아질 것"이라며 "개별기업들은 기술혁신과 고령인력의 재배치로 경쟁력을 높이고 지자체는 고령 친화산업을 기존 산업 인프라와 연계하기 위한 중장기적 계획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