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31/20171031130418675190.jpg)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F-16 전투기 [사진=미국 태평양 공군 홈페이지 제공]
KAI는 31일 “미 공군과 태평양공군 소속 F-16 90여대에 대한 창정비 및 기골보강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금액은 4880만 달러(약 547억원)이며 계약기간은 이달부터 2022년 9월까지다.
창정비 및 기골보강은 항공기를 정비고로 가져와 검사한 후, 이상이 발견되면 수리, 보강, 성능개선 등을 수행하는 사업이다. 항공기의 완벽한 성능유지를 위한 것으로 높은 기술력과 품질관리 능력이 요구된다.
KAI 관계자는 “국제경쟁 입찰을 통해 일본 등 항공선진국 업체들과 치열한 경쟁 끝에 수주했다”며 “KAI의 항공기 정비 기술력과 사업관리 능력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다시 한 번 입증한 것”이라고 말했다.
KAI는 고등훈련기 T-50, 기본훈련기 KT-1 등 KAI가 개발·생산한 항공기는 물론 A-10 주익교체, P-3 해상초계기 성능개량, E-737 개조 등 다양한 군용 항공기 정비 및 개조개량 사업을 수행하며 관련 기술력을 축적해 왔다.
KAI는 민항기 정비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경남도, 사천시 등과 함께 총 사업비 7000억원 가량을 투자해 사천시 본사 인근에 31만㎡ 규모의 MRO(항공 정비)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KAI는 그동안 항공기 개발·생산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과 군용 항공기 물량을 기반으로 민간 항공기까지 영역을 확대하는 등 항공 MRO를 대한민국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KAI 관계자는 “항공MRO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국내 LCC들의 안전 증대는 물론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외화유출 방지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MRO 산업 육성을 통해 연 1조원 이상의 외화유출을 방지하고 80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MRO 시장 규모는 약 3조5000억원(군수 2조원, 민수 1조5000억원)이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MRO 시장이 2020년 4조2000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