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18/20171018182206788499.jpg)
지난 7월 중순께 출범한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위원장 류석춘)의 활동이 후반부에 접어들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서청원, 최경환 의원에 대한 '자진 탈당' 권고를 내리며 가장 큰 뇌관이던 인적청산안을 이미 발표한 만큼, 남은 것은 당 조직 및 정책 정비 부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당의 쇄신 작업은 갈 길이 멀다. 혁신안들이 최고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수순이 남았다.
서울 소재 대학 최소 10개, 지역 거점 대학 최소 7개를 시작으로 각 대학에 ‘대학생위원회 지부’를 운영하고, 중앙당에서 이를 지원하는 방안이 담겼다. '국회보좌진위원회'도 신설해 인재육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청년정책 공모제 실시,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하 여연) 내 청년자문위원단 운영 등으로 청년층을 향한 소통의 창구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또 중앙당 사무처에 시민사회국을 신설하고 법률지원팀을 함께 운영해 시민단체와의 교류도 넓힌다는 방안이다.
앞서 지난 8월 나아가야 할 방향, 가치를 폭넓게 담은 혁신선언문을 통해 혁신위는 '신보수주의'를 중심으로 한 가치중심 정당으로의 환골탈태를 주장했었다.
이후 혁신위는 △국회 선출 및 추천위원을 위한 인사추천위원회 구성 △당 정치학교 개설 △정책 전문가 육성 및 상임위별 정책 태스크포스(TF) 구성 △여연 혁신 △인적 쇄신 △우선추천 확대를 중심으로 한 공천 혁신 등의 혁신안을 차례로 발표해왔다.
하지만 지금껏 혁신위가 내놓은 혁신안은 아직까지 '안'에 불과하다. 당에서 이를 수용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해야만 비로소 혁신 작업에 돌입했다고 볼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특히 당 혁신의 최대 난제이자 핵심 안건으로 분류됐던 인적 쇄신의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한국당은 20일께 윤리위원회를 열고 박 전 대통령 등에 대한 징계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과의 통합 얘기도 거론되는 상황에서, 이같은 결정은 추후 보수정당발 정계개편으로 이어지는 전제 조건 중 하나다. 한국당 혁신위는 통합을 염두에 두고 당협위원장 일괄 사퇴 등도 검토중인 상황이다. 다만 당협위원장 일괄 사퇴 역시 내부 반발이 예상되는 지점인 만큼 녹록지 않은 부분이다.
이밖에도 서민중심경제와 관련한 정책 마련, 강령 및 로고 변경 등이 남은 과제라고 류 위원장은 이날 밝혔다. 큰 틀에서 이에 대한 작업이 끝나면 혁신위의 활동도 마무리 수순에 들어간다.
당내 일부 여론에 배치되는 인적청산 작업이 끝나면 나머지 혁신안 추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서청원, 최경환 의원의 징계에 당이 소극적인 것 아니냐는 지적에 류 위원장은 이날 "당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자세히 말씀드릴 순 없지만 혁신위의 방향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홍준표 대표에게) 압력을 많이 넣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