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10/20171010142037948514.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기준금리 인상이 내년 상반기에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6월부터 꾸준히 금리 인상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내년으로 공이 넘어갔다는 게 중론이다.
10일 국내 채권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내년 1~2분기 중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임기가 내년 3월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1분기 금리 인상도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실제 전체 38곳 기관 중 10곳이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내년 1분기로 판단했다. 올해 4분기로 예측한 곳은 한 곳뿐이다.
해외 투자은행(IB)도 마찬가지.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와 바클레이스,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등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년 1분기에 올릴 것으로 예측했다. JP모건과 스탠다드차타드(SC), UBS는 내년 2분기로 예상했다.
최근 경기회복 추세가 주춤한 상황에서 통화정책을 급격하게 변경할 이유가 없다는 판단이다. 이달 발표될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미치는 영향도 살펴볼 시간이 필요하다. 올해까지는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에 힘이 쏠리는 이유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으나 올해 내로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연 1.25%로 사상 최저 수준이다. 수출 증가와 물가 상승,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 등으로 인해 지난 6월부터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한은은 금리 인상을 고려했지만 북핵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4개월째 이어지며 제동이 걸렸다.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도 금리인상의 발목을 잡고 있다. 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빚이 있는 가구의 이자 부담은 더 커진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이자상환 부담이 약 9조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리 인상으로 가계부채 증가세를 안정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에 한은이 부정적인 이유다.
수출·투자 등이 주춤한 점도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경기 둔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금리 역전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오는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올리면 한국보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진다. 2007년 8월 이후 10년 만의 역전이다.
하지만 한은은 이 같은 금리 역전이 자본유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총재는 8월 말 금통위 후 기자간담회에서 "외국인 투자는 내외금리차뿐 아니라 국내외 경제동향, 지정학적 리스크, 환율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관투자가들의 해외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외환보유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는 점도 급격한 자본유출이 없을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