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우리와 수교한 중국은 금년에 25주년을 맞이한다. 20주년 당시만 하더라도 양국 관계가 절정의 모드에 접어들던 시기로 미래에 대한 장밋빛만 언급할 정도로 아무런 장애가 없을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지금 예측은 정확히 빗나가고 상황은 급변했다. 사드 배치 하나로 양국 간의 외교적 협력은 실종되었고, 이에 따른 중국의 보복으로 경제적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형편이다. 그만큼 양국 관계가 근본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고 허술하다는 반증하고 있다. 경제적 관계에는 큰 진전이 있었지만 복잡한 주변 정세로 인해 이를 지탱해주는 정치적 관계가 쉽게 허물어지는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는 것이 입증된 셈이다. 양국 간의 경제협력 형태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수직적 상호 보완 관계에서 수평적 경쟁 관계로 바뀔만큼 중국의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는 것이 현재 모습이다. 철강, 조선, 가전, IT, 자동차 등 주력 업종에서 우리의 뒤를 바빡 추격하고 있다. 이제 남은 건 반도체 정도이고, 우리보다 앞서 가는 분야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을 부인하기 여렵다.
중국의 변화는 우리말고도 현지에 진출해 있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을 당황케하고 있다. 우선 현지 시장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적은 기업일수록 중국의 매력이 갈수록 반감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부품·소재의 경우도 즁국 기업의 실력이 올라오면서 설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어 출혈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른 시장으로 눈독을 들이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에 더하여 급격한 인건비 상승, 단순 혹은 숙련 노동자 부족, 비(非)주력 제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인센티브 폐지 등으로 외국계 기업의 탈(脫)중국이 가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리쇼어링(Reshoring), 즉 본국으로 회귀하는 기업도 있지만 보다 많은 기업들이 중국보다 더 나은 제조업 환경 둥지를 찾아 나서고 있다. 가장 눈에 먼저 들어오는 지역이 동남아와 인도로 이는 매우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단순 제조 환경뿐만 아니라 이들이 가진 미래 시장가치 또한 충분히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제조 혹은 시장 환경의 변화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중국의 위상이 어떻게 조정되어 나갈 것인지에 대해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 20여년 만에 다시 우리 품에 다가오는 대안(代案)시장 아세안(ASEAN)
일반적으로 아세안 시장은 화교(華僑) 상권이라고 불린다. 국가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화교의 시장 지배력이 최소 절반에서 90%가 넘는 곳도 있다. 이에 따른 현지 원주민과 화교들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으며, 잠재적인 사회 문제로 남아 있기도 하다. 경제 발전 정도에 따라 선발 6개국(싱가포르, 말레시이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시장과 후발 4개국(CLMV: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시장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말레이 반도 시장과 태국, 베트남을 거점으로 하는 인도차이나 시장으로 양분하기도 한다. 이렇듯 현지 시장의 특성 혹은 성숙도에 따라 자본재, 중간재, 소비재 시장으로 구분하여 진출 전략을 다양화해야 한다. 시장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 상품은 화교 중심으로, 인프라 등 프로젝트 시장 진출은 현지 원주민 리더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추진하는 것도 현명한 선택이다. 태국, 말레이시아 등을 중심으로 일찍부터 시장 기득권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 기업과는 서플라이 혹은 밸류 체인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화교 네트워크와 차이나머니로 무차별 공세를 펴고 있는 중국과는 일일이 부딪히기 보다는 부가가치 선별화와 현지 시장에서 누리고 있는 기득권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중국, 일본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에서의 매력적 지위를 유지해 나갈 수 있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미 거점화되 있는 베트남에 미얀마를 배후화하는 인도차이나 상권 전략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필리핀을 연결하는 선발시장 복원화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 2010년부터 베트남이 우리의 10대 수출시장으로 들어와서 금년에는 3위 시장으로까지 부상하고 있을 정도로 부쩍 가까워지고 있다. 해외로 진출하는 기업들 역시 중국 대신 아세안을 선택하는 것이 이미 대세이다. 사드 문제가 아니더라도 어차피 중국과는 새로운 차원의 경제 협력 패러다임이 만들어져야 하는 시점이다. 미국 등 선진국 시장은 4차 산업혁명 붐으로 수요가 회복되고 있기는 하지만 보호무역이라는 그늘이 한편에 자리를 잡고 있기도 하다. 인구 감소로 청장년층보다는 고령층 실버 시장이 더 커지고 있는 판세이다. 인구 보너스에 더하여 산업화와 도시화로 여성과 새로운 중산층이 소비의 주력부대로 등장하고 있는 아세안이 20여년 만에 현실적 대안(代案)시장으로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