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대우건설의 매각작업에 속도를 붙이고 있지만, 짧은 시간 내 넘어야 할 난관도 적지 않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발표된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및 CEO(최고경영자) 리스크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8일 산업은행 측에 따르면 대우건설의 유력한 매각 주간사인 미래에셋대우, BoA메릴린치, 법무법인 세종은 다음 주 초부터 매도자 실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어 "실사 과정이 통상 2개월 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오는 9월말 경 매각 공고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예비입찰과 본입찰을 차례로 실시하며, 매각 투명성 확보를 위해 '매각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매각 대상은 산은이 PEF(사모투자펀드) KDB밸류제6호를 통해 확보한 대우건설 지분 50.75%다. 산은은 공개경쟁입찰방식으로 지분을 매각할 계획이다.
이처럼 공고가 2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산은의 대우건설 매각 작업에도 한층 속도가 붙게 됐다.
문제는 PEF 만기가 오는 10월에 돌아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기업가치가 오르기 위해서는 주가가 탄력을 받아야 하는데, 대우건설의 주가는 현재 7000원대 후반 선에 머무르고 있다. 산은이 2010년 대우건설로부터 사들인 1만8000원과 비교해 턱없이 모자란다.
이달 2일 갑작스레 발표된 정부의 8·2 대책도 대우건설 매각 작업에 예상치 못한 복병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대책이 분양시장 안정화와 투기세력 근절을 목표로 하는 고강도 위주의 방안들로 짜여져 건설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특히 대우건설의 경우 현재 해외에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기보다는 국내 주택사업에 매진해온 만큼 대책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CEO 리스크도 극복해야 할 난제다. 대우건설 노조가 박창민 대표의 선임 과정에 최순실씨가 개입했다는 정황을 근거로 매각 중단을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기업 가치가 지속적으로 떨어져 매각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산은 관계자는 "일단 대우건설을 둘러싼 걸림돌에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매각 실사 및 공고에만 집중할 생각"이라며 "대우건설을 인수할 수 있는 기업이라면 국내 기업이든, 해외 기업이든, 인수 대상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반드시 대우건설을 매각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