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8/08/20170808083439528029.jpg)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하계휴가를 마치고 7일 복귀 신고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대북정책과 혁신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했다. 사법시험(24회)과 사법연수원(14회) 동기인 이들은 1996년 15대 국회의원 총선거(총선) 때 나란히 원내에 진입했다.
두 대표는 이날 첫 일성으로 ‘안보’를 한목소리로 강조했지만 추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신(新) 베를린선언 등 대화에 방점을 찍은 반면, 홍 대표는 전술핵 재배치를 주장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또한 민주당과 한국당은 같은 날 혁신위 구성에 박차를 가하며 내년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혁신 경쟁에 나서기도 했다.
◆秋 “대화 지지” vs 洪 “전술핵 본격 논의”
추 대표의 휴가 복귀 첫 메시지는 ‘병행론의 대북 정책 지지’와 ‘국가정보원(국정원) 댓글부대 비판’에 초점을 맞췄다. 대화와 제재의 투 트랙을 강조하는 문 대통령에 보조를 맞추면서도 ‘적폐 청산’을 고리로 한 선명성 경쟁을 통해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추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에 대해 “제재를 위한 제재로 끝나선 안 된다”며 “제재를 바탕으로 베를린 구상에 입각한 끊임없는 대화의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을 언급하며 “북한은 미국을 겨냥, 불바다 운운하지만, 우리 정부의 대화 노력을 외면할수록 고립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북한에 경고장을 날렸다.
그러면서도 이명박(MB) 정부 때의 국정원 댓글부대 의혹에 대해 “이 사건의 배후에 당시 청와대가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보수정권하에서 국정원은 정권 흥신소였다. 나라 팔아먹은 이완용도 이렇게 뻔뻔하진 않았을 것이다. 매국노에 준하는 엄벌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홍 대표는 전술핵 한반도 재배치를 주장했다. 실효성 수단인 전술핵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중거리 폭격기투하탄 등을 제외한 핵무기다. 홍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핵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미국이 중대한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며 전술핵 재배치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홍 대표는 거듭 “평화는 구걸하는 게 아니다. 힘의 균형일 때 평화가 온다”며 “뉴스를 보니 트럼프가 모든 군사적 옵션을 준비하는데, 이 정부에선 비현실적인 베를린 선언이나 하고 대북전단 살포 금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8/08/20170808083516175760.jpg)
하계휴가를 마치고 7일 복귀 신고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대북정책과 혁신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했다. 사법시험(24회)과 사법연수원(14회) 동기인 이들은 1996년 15대 국회의원 총선거(총선) 때 나란히 원내에 진입했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秋혁신안 당내 갈등 불가피…洪혁신안도 시험대
홍 대표는 이날 취임 인사차 예방 의사를 전달한 문무일 신임 검찰총장에게 “정치적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며 사양 의사를 전달했다. 검찰개혁을 둘러싸고 현 정부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2015년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의 특별수사팀장을 맡은 문 총장이 홍 대표를 불법 정치자금 1억원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한 '악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집권당과 제1야당은 이날 나란히 혁신에 드라이브를 걸며 지방선거 체제 대비에 나섰다.
민주당은 다음 주 혁신위와 적폐청산특위를 동시에 띄우기로 했다. 이들의 명칭은 각각 ‘정당발전위’와 ‘적폐청산위’다. 위원장은 친문(친문재인)계인 박범계 의원과 최재성 전 의원이 각각 맡는다.
추 대표가 복귀와 동시에 ‘추미애표 혁신안’을 선보였지만, 지방선거 공천권과 맞물릴 경우 당내 갈등의 화약고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추 대표는 청와대 비서관 자리를 맡은 지역위원장 8곳을 ‘사고 지역구’로 지정했다. 당 산하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가 새 지역위원장을 선정할 경우 당내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도 강령에 △신(新)보수주의 △서민중심경제 △저출산·에너지 문제 △국가 보훈 등을 추가했다. 더불어 ‘전통적 우방과의 동맹’은 ‘한·미 동맹’, ‘양극화’는 ‘격차 해소’, ‘작은 정부’는 ‘효율적 정부’로 각각 수정했다. 이에 따라 홍준표 혁신안도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이날 통화에서 “당장 추 대표와 홍 대표는 정부의 대북정책을 놓고 충돌할 수밖에 없다”며 “여야가 협치 로드맵을 내놓지 못할 경우 8월 결산국회부터 9월 정기국회 내내 사안마다 충돌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8/08/20170808083742838746.jpg)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