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2Q 실적 뚜껑 열어보니…SKT·KT 선방, 돋보인 LGU+

2017-07-28 14:02
  • 글자크기 설정

통신비 절감 대책에 따라 3분기 가시밭길 예상

 


이동통신업계가 올해 2분기 양호한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SK텔레콤과 KT는 선방했고, LG유플러스는 고른 실적이 돋보인다.

문제는 3분기다. 이통3사는 정부의 통신비 절감 대책에 우려를 표시하며, 수익성 악화를 막기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KT는 28일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4473억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5조8425억원으로 2.9%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2581억원으로 1.1% 증가했다.

지난달 자회사 BC카드가 보유한 마스터카드 지분 매각으로 일회성 이익 400여억원이 발생한 것을 제외해도 전 분기에 이어 4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렸다는 데 의미가 있다.

미디어·콘텐츠사업은 IPTV 우량 가입자 확대와 플랫폼 매출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2% 성장한 561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금융사업 매출은 BC카드의 마스터카드 지분매각 수익을 포함하여 전년 동기 대비 6.6% 성장했고, 기타서비스 매출은 부동산,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 활성화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5855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에너지는 올해 1~2분기 467억원의 누적 매출을 올렸다.

반면 본업인 유·무선 통신 사업은 하락세다.

무선사업 매출은 전체 가입자가 전 분기 대비 28만7000명 증가했음에도 작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1조7814억원을 기록했다. 무선서비스 매출은 1.7% 감소한 1조6438억원을 기록했다.

유선 사업 매출은 1조2261억원으로 4.7% 줄었다. 이번 분기에도 기가 인터넷의 성장세가 유선 전화의 매출 감소를 상쇄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앞서 전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2분기 성적표를 공개했다.

SK텔레콤은 연결기준으로 2분기 영업이익 4233억원, 매출 4조345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3.9%, 1.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13.2% 증가한 6205억원을 기록했다.

그동안 SK텔레콤의 발목을 잡아오던 자회사들이 실적 개선을 이루면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SK브로드밴드는 매출 7301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분기 실적 사상 최대치인 316억원을 기록했다. SK플래닛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274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연결 당기순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하지만 SK텔레콤만 놓고 보면 지난해에 다소 미치지 못했다. SK텔레콤의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3.3% 감소한 4623억원이다. 지난해 취득한 2.6㎓ 주파수의 감가상각비 증가와 갤럭시S8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 탓이다.

LG유플러스의 실적 성장세는 유독 돋보였다.

LG유플러스는 2분기 영업이익 208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보다 15.5% 증가했다. 매출(총 수익)은 3조97억원으로 4.5% 증가했다.

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3분기 처음으로 2000억원 고지를 밟은 뒤 올해 1분기에 이어 2000억원을 돌파했다. 매출은 작년 4분기에 이어 두 번째로 3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LG유플러스의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4190억원이다. 반기 영업익이 4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2010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후 처음이다.

SK텔레콤과 KT와 달리 유·무선 사업이 고른 호조를 보인 것이 주효했다. 무선 매출은 LTE 가입자 증가와 모바일 TV 시청으로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이 늘면서 3.2% 증가했다. 2분기 LTE 가입자는 1155만6000명으로 전체 무선가입자의 90%에 달했다.

IPTV 가입자(셋톱박스 기준)는 331만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15.9% 늘어 유선사업의 성장을 이끌었다. 가정용 사물인터넷(Home IoT) 서비스는 2분기 말 80만 가입 가구를 확보해 연내 목표인 100만 가구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통3사의 이번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모두 웃도는 수준이다. 하지만 3분기부터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새정부가 가계통신비 절감 대책에 드라이브를 걸며 통신사들을 옥죄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장 9월 시행을 목표로 25% 요금할인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될 시 이통사 연간 매출이 50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통3사는 25% 요금할인 시행에 대비해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는 상태다.

휴대전화 구매와 이통사의 요금제 가입을 구분해 판매하는 단말기 완전 자급제 도입이 대안으로 나오고 있다. 통신비 청구서에서 단말 대금을 분리해 과금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이통사들은 분리공시제와 보편요금제 도입 등에 대해서는 통신사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