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교육부에 따르면 대입전형료의 산정, 지출 기준을 보다 구체화한다는 계획으로 대입 단순화 방향과 보조를 같이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새 정부는 논술전형은 폐지하고 특기자전형은 예술, 체육 분야로 축소한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전형이 복잡할수록 대입전형료 산정과 지출 기준 마련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같은 정시 수능 전형이라도 학생부와 면접을 하는 학교가 있고 점수만 가지고 선발하는 곳이 있는 가운데 점수만 보고 선발하는 경우 전형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질 수 있다.
학생부를 보는 학교의 경우에는 평가위원들이 참여하게 되면서 수당을 지급해야 해 비용이 들어가게 되면서 지출에서 차지하는 수당의 비중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학생부 평가 인재 선발을 위해 이틀간 면접을 하는 곳이 있는 반면 간단한 면접만 보는 곳도 있어 수당 차이도 난다.
이런 다양한 방식의 선발이 가능해 기준 마련이 단순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같은 전형이더라도 전형요소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을 수 있어 선발 방법이 다양할수록 기준을 마련하기가 어려워진다.
교육부는 집행기준 등 교육부령으로 있는 규칙을 개정해 기준을 보다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수시 6회, 정시 3회 한도의 대입 지원시 들어가는 비용이 100만원에 달하는 등 부담을 가중시키는 상황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미 국공립대학은 올해 수시 선발에서부터 전형료를 인하하기로 했다.
사립대학들도 이같은 흐름에 보조를 맞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미 교육부는 25개 주요대학을 상대로 전형료 실태조사에 착수해 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정과 집행 기준 등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입전형료의 산정과 집행이 대학마다 제각각이라는 지적이 있어 관련 규칙을 개정해 보다 구체화할 예정“이라며 ”같은 전형이라도 선발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단순화하기는 어렵지만 이전보다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