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7/02/20170702104235126532.jpg)
중구 초동 충무로 인근 시네마테크 부지.[사진=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아시아를 대표하는 첨단영화산업 중심지로 거듭나겠다며 추진하던 '서울시네마테크' 건립이 당초보다 3년 가량 늦춰진다. 중앙정부와 협의 과정에서 두 차례 퇴짜를 맞으며 일정이 순차적으로 미뤄졌고, 덩달아 국비지원 조차 확정되지 않아 제대로 첫 삽을 뜰지도 미지수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2015년 3월 '영화 문화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매일 영화가 촬영되고 상영되는 도시'로 거듭나겠다고 전했다. 박원순 시장은 "미래먹거리 영화산업기반 및 균형있는 영화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로부터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걸림돌을 만났다. 지자체 자체적으로 직접 진행하더라도 소요예산이 200억원이 초과되면서 정부 심의를 받게 된 것이다. 그렇게 2016년 2월과 6월에 각각 제1차, 제2차 행정자치부 중앙투자심사를 거치면서 다른 시설과의 기능 중복, 국가사업으로 확정 등 여러 지적이 나와 대대적 재검토가 이뤄졌다.
우여곡절 끝에 그해 11월 세 번째 만에 조건부로 심사를 통과했지만, 국비지원은 '미정'이란 답변이 돌아왔다. 다시 말해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아무 이득도 없이 1년을 허비한 셈이다. 이후 시 공유재산심의회에 이어 최대 걸림돌로 꼽혔던 토지 무상 사용과 관련해 중구청과 협약을 지난 4월 체결했다.
2년 전의 구상대로면 이미 서울시네마테크는 후반 공정에 한창이어야 할 시점이지만, 아직 착공은 커녕 기본·실시설계도 시작하지 못했다. 서울시는 2018년 예산(안)에 긴축회계로 1억여 원을 반영시켜 첫 발을 뗀다는 방침이지만, 전체 220억원(토지비 제외)을 초과하는 사업비가 제때 조달될 지도 의문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최근 관계부서 협의 때 대상 부지인 중구 초동공영주차장이 협소한 부정형이란 탓에 사업 규모의 일부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결론마저 도출됐다. 아울러 주차공간은 200㎡당 1대인 문화시설 설치 기준에 따라 기계식으로 조성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현재 앵커시설인 서울시네마테크 건립이 지지부진하면서 연계된 실내스튜디오(약 7000㎡ 면적)를 비롯해 경찰서, 법정, 면회실, 병원 등 도심형 고정 세트장도 별 진척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협력연계를 통한 '고양·파주-상암·여의도-인천'을 잇는 글로벌 영화창작 벨트 구축도 안갯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중앙정부 투자심의를 거치면서 예정한 일정이 줄줄이 미뤄진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사전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서 설계 공모 및 실시 등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