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문재인 대통령 교육 정책 마련 관계자에 따르면 2021 수능에서 6개 공통과목만 시험 보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부가 8월까지 확정해야 하는 2021 수능 개편안에도 이 같은 방침이 반영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신임 장관이 임명된 후 2021 수능 개편안 초안을 마련,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의견 수렴 과정에서 정책이 바뀔 여지는 있다.
기존에는 2021 수능에서 공통과목 6개만 시험을 보는 방안과 함께 선택과목을 함께 보는 안이 검토됐고,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을 다른 날로 나눠 수능을 두 번 치르는 방안도 제기됐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수능에 선택과목도 시험을 보도록 하는 방안은 시험을 치르지 않을 경우 선택과목이 학교 수업에서 파행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이었다.
수능 시험에서 공통과목 6개만 보는 경우에는 선택과목이 파행 운영되지 않도록 대입 정시 전형에서 학생부를 통해 선택과목 내신을 반영하는 방안 등이 함께 검토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당인 민주당은 수능 절대평가 확대에 대해서는 영어와 한국사 두 개 과목에서 6개 공통과목 전 영역으로 확대할지, 아니면 일부만 적용을 늘릴지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전 과목으로 절대평가를 확대하는 경우 변별력 저하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입에서의 수시, 정시 비중은 현재의 7대3 구도에서 급격하게 변하지는 않도록 하는 가운데, 논술전형과 특기자전형 축소로 정시 비중이 소폭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민주당은 보고 있다.
논술전형과 특기자전형의 비중이 축소되는 만큼 대학이 수시 학생부전형이나 정시 전형을 늘릴 수 있어 결정에 따라 정시 전형 비중이 소폭 늘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민주당은 상위권 대학이 정량적인 내신을 통해 선발하는 학생부교과전형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입장도 갖고 있다.
기존에 전체 대학들의 학생부교과전형 선발 비율은 가장 높지만 상위권 대학들의 선발 비중은 낮다.
예측 가능성이 떨어져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있는 정성평가 위주의 학생부종합전형은 질 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EBS 수능 연계 출제 정책에 대해서는 급격한 철회가 부담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교육 격차에 대한 지역의 우려가 있어 급격하게 폐지하기는 어렵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새로운 신임 교육부장관이 취임해 결정하겠지만 2021 수능부터는 공통과목만 시험을 봐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절대평가는 6개 과목 전체로 확대할지 일부만 대상을 늘릴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