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9/20170509122005289061.jpg)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해 8월 발생해 14일간 43억원의 피해액을 낸 적조가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올해는 발생 시기가 빨라 7월 중순쯤이면 적조주의보가 내려질 것으로 보여 정부는 적조 피해를 막기 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적조 발생에 대비해 '2017년 적조 대응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9일 밝혔다.
적조는 많은 일조량이나 높은 수온 등이 원인으로, 국내에서 유해성 적조는 1995년부터 거의 매년 발생했다.
적조 발생 시 수십억원의 재산피해는 불가피하다. 그만큼 양식어가에는 최대의 난적이다.
특히 지난 2013년에 적조로 인한 피해는 247억원에 달했다. 이에 정부는 그해 말 '적조 대응 중장기 종합대책'을 수립해 어업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다행히 피해액은 2014년 74억원, 2015년 53억원, 지난해 43억원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그러나 올여름은 강수량이 평년에 비해 많고 표층수온도 평년보다 1.0~1.5℃ 높을 것으로 전망돼 6월 말~7월 초 적조 예비주의보, 7월 중순께 적조주의보 발령이 예상된다.
적조 발생 시기가 다소 늦었던 지난해(2016년 8월 16일)보다는 한 달 이상 앞서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적조 피해를 최소화에 주력한다.
서장우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올해 적조는 작년보다 이른 7월 중순쯤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선제적으로 적조 대응체계를 가동해 현장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해수부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한 상시 감시체계를 운영해 적조 예찰 결과 및 발생 위치 정보 등을 모바일 응용프로그램(App)으로 실시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적조발생 현장에서는 실제 방제업무를 수행하는 62개 지자체의 현장조치를 돕기 위한 행동 지침을 마련하고, 적조 대응을 위한 사전모의훈련 및 어업인 간담회를 통한 생산자 교육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지난해 전남 완도·고흥 전복 양식장에 큰 피해를 준 적조 생물 '카레니아' 대응방안 마련 논의를 비롯해 양식수산물 피해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 지난해 완도·여수·통영·포항 등 4개 시·군과 함께 실시했던 '적조 대응 사전 모의훈련' 역시 올해 6~7월 중에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