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러시아 내통' 의혹으로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에서 지난 2월 불명예 퇴진한 마이클 플린에 대해 트럼프 정부가 신원조회도 제대로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NBC방송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방송은 2명의 정부 관리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플린은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지난해 4월 갱신받은 비밀취급인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트럼프 정부 초대 NSC 보좌관에 기용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비밀취급인가 서식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 서식에 대한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의 심사는 그가 2월 물러날 때까지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신원조회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NSC 보좌관으로 활동했던 셈이다.
이 방송은 다만 CIA 등의 신원조회가 플린의 경질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플린의 '러시아 내통' 의혹 탓에 궁지에 몰려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에는 플린의 비밀취급인가를 오바마 정부가 줬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트위터에 "플린 장군은 오바마 정부에서 최고의 비밀취급인가를 받았다"고 지적하면서 '가짜언론'이 이러한 사실을 외면하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플린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해 대선 승리 이후인 12월 세르게이 키슬랴크 주미 러시아 대사와 통화해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를 논의하고도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게 거짓보고했다가 들통나 경질된 인물이다.
한편 NBC방송은 이날 오바마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이던 트럼프와 독대한 자리에서 플린을 NSC에 기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shin@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