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제19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둔 8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예비승무원들이 '투표로 희망을 선물하세요!' 투표참여 홍보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8/20170508173238623105.jpg)
제19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둔 8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예비승무원들이 '투표로 희망을 선물하세요!' 투표참여 홍보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신(新)질서 체제를 찾아라.” 선택의 날이 밝았다. 헌정 사상 초유의 국정농단 사태와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9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국 1만3964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이번 대선은 반세기 넘게 한국 정치를 지배한 박정희 체제와 3김(김영삼·김대중·김종필) 이후 국가의 기틀을 바꾸는 정초선거다. 탄핵 갈등의 여파는 현재진행형이다. 대통령 궐위에 따른 보궐선거인 탓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도 없다. 절차적 혼선으로 분열이 불가피한 만큼, 대선 이후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2·3·4면>
8일 본지의 ‘정치 원로 및 전문가 제언-포스트 대선을 말한다’에 참여한 김수한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김상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김중위 전 환경부 장관,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신경식 전 헌정회장,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 이필상 서울대 초빙교수와 채진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등은 “새 대통령은 국민통합과 민생 경제 살리기로 대한민국의 새판을 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정치 원로들이 강조한 새 정부 국정철학은 피아(彼我)의 구분 없는 ‘소통과 협치’였다. 협치 없이는 국민통합도, 대탕평 인사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새 정부가 역대 정권과 마찬가지로 ‘코드 인사’로 일관한다면, 예상치 못한 조기 레임덕(권력누수 현상)에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지 확대
![8일 본지의 ‘정치 원로 및 전문가 제언-포스트 대선을 말한다’에 참여한 김수한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김상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김중위 전 환경부 장관,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신경식 전 헌정회장,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 이필상 서울대 초빙교수와 채진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등은 “새 대통령은 국민통합과 민생 경제 살리기로 대한민국의 새판을 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한 아파트 선거벽보.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8/20170508173113856092.jpg)
8일 본지의 ‘정치 원로 및 전문가 제언-포스트 대선을 말한다’에 참여한 김수한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김상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김중위 전 환경부 장관,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신경식 전 헌정회장,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 이필상 서울대 초빙교수와 채진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등은 “새 대통령은 국민통합과 민생 경제 살리기로 대한민국의 새판을 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한 아파트 선거벽보.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박근혜 정부 인사들과 새 정권 내각의 불가피한 동거 체제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신경식 전 회장은 “새 정부의 내각 조각 때 국민 통합형 인사를 해야 한다”며 “당파 싸움은 역사 속의 얘기가 아니다. 대탕평책이 국민통합의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새 정부에서 ‘통합이냐, 분열이냐’는 첫 내각 구성에서 판가름난다는 의미다.
행정부와 입법부 간 ‘분권’도 중요한 가치로 꼽혔다. 한화갑 총재는 새 대통령의 통합 리더십과 관련해 “새 정부는 건국 초기보다 난제를 더 안고 있다”며 “대통령은 특정 정파의 대통령이 아닌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다. 이 때문에 국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수와 진보를 모두 아우르는 거국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며 “가령, 노동부 장관 인선 및 정책 등은 진보정당 대표 및 의원들과 협의해 추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남재희 전 장관도 “어느 정권이 출범하든 여소야대(與小野大)인 만큼, 연립정부 구성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새 정권에 필요한 것은 군사작전식 통치가 아닌 ‘속도조절’을 통한 절차적 정당성 확보라는 제언도 나왔다. 채진원 교수는 “새 대통령은 점진적으로 신뢰를 획득해 가면서 정부조직개편을 해야지,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레임덕을 맞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안보와 경제 대통령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중위 전 장관은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안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나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주위에 스트롱맨밖에 없다”며 “안보 위기 해소를 위한 집권 1년 차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필상 교수는 “경제를 살려서 민생을 해결해야 하고, 국정농단 원인인 정경유착 등 비리 구조를 고치는 개혁에 매진해야 한다”며 “첫걸음은 국민과 소통을 통한 직접 민주주의 실현”이라고 역설했다.
이미지 확대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9일 앞둔 30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의 한 인쇄소에서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인쇄된 대선 투표용지를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8/20170508173301787744.jpg)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9일 앞둔 30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의 한 인쇄소에서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인쇄된 대선 투표용지를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