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현상철 기자 =러시아와 교역을 하는 국내 기업이 수출 급감과 주요국의 대(對)러 경제제재 부담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미 3년간 이어진 서방의 러시아 경제제재 여파로 한국의 대러 무역액은 반토막이 났다. 여기에 미국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경제제재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교역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국내 기업의 활동범위도 축소됐다.
금융‧무역‧에너지 부문의 제재에 대한 정보와 동향을 주시하지 않을 경우, 기업에 ‘불똥’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한국무역협회와 전략물자관리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러 수출액은 47억7000만 달러로 경제제재가 있기 전인 2013년(111억5000만 달러)과 비교해 57.2%나 급감했다.
수입 역시 2014년 156억7000만 달러에서 이듬해 27.8%, 지난해 23.6% 감소했다. 2014년과 비교해 44.9% 줄어든 수치다.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병합으로 시작된 서방의 경제제재는 금융‧에너지‧무역부문에 걸쳐 광범위하게 진행됐다.
관료‧기업인에 대한 제재대상자 지정은 물론 각종 방산물자‧에너지설비‧투자‧전자제품 등의 수출제재 조치도 펼쳐졌다.
경제제재와 국제유가 하락이 겹치면서 러시아 경기는 한파가 시작됐다. 한국의 대러 무역이 급감한 근본적인 원인이다.
국내 기업의 입장에서는 ‘무역급감’이라는 여파와 함께 대러 교역시 ‘경제제재’라는 또 하나의 부담이 생긴 것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금융제재다. 미국이 제재하는 러시아은행에는 자산 순위가 2, 3, 5위인 국영은행이 포함됐다. 특별지정제재 대상(SDN) 리스트에 올라간 업체와의 거래에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무역부문에서는 미국산 또는 25%이상의 미국산 전략물자가 포함된 품목은 물론 에너지 관련 품목, 이중용도 품목 등 폭넓은 제재를 시행했다.
EU도 금융‧무역제재 조치를 시행하는 등 미국과 유사한 분야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제재를 부과했다.
러시아에 대한 주요국의 교역에 대한 제재지만, 우리나라 역시 각국의 제재를 준수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짐이 늘어난 셈이다.
전문가들은 ‘우려거래자 리스트’ 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상시적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특히 무기로도 제조‧개발될 수 있는 전략물자가 포함된 품목에 대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인선 전략물자관리원 선임연구원은 “대러 경제제재가 전략물자뿐 아니라, 금융‧에너지분야 등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며 “제재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우려거래자 파악이나 각국의 제재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미 3년간 이어진 서방의 러시아 경제제재 여파로 한국의 대러 무역액은 반토막이 났다. 여기에 미국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경제제재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교역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국내 기업의 활동범위도 축소됐다.
금융‧무역‧에너지 부문의 제재에 대한 정보와 동향을 주시하지 않을 경우, 기업에 ‘불똥’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한국무역협회와 전략물자관리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러 수출액은 47억7000만 달러로 경제제재가 있기 전인 2013년(111억5000만 달러)과 비교해 57.2%나 급감했다.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병합으로 시작된 서방의 경제제재는 금융‧에너지‧무역부문에 걸쳐 광범위하게 진행됐다.
관료‧기업인에 대한 제재대상자 지정은 물론 각종 방산물자‧에너지설비‧투자‧전자제품 등의 수출제재 조치도 펼쳐졌다.
경제제재와 국제유가 하락이 겹치면서 러시아 경기는 한파가 시작됐다. 한국의 대러 무역이 급감한 근본적인 원인이다.
국내 기업의 입장에서는 ‘무역급감’이라는 여파와 함께 대러 교역시 ‘경제제재’라는 또 하나의 부담이 생긴 것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금융제재다. 미국이 제재하는 러시아은행에는 자산 순위가 2, 3, 5위인 국영은행이 포함됐다. 특별지정제재 대상(SDN) 리스트에 올라간 업체와의 거래에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무역부문에서는 미국산 또는 25%이상의 미국산 전략물자가 포함된 품목은 물론 에너지 관련 품목, 이중용도 품목 등 폭넓은 제재를 시행했다.
EU도 금융‧무역제재 조치를 시행하는 등 미국과 유사한 분야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제재를 부과했다.
러시아에 대한 주요국의 교역에 대한 제재지만, 우리나라 역시 각국의 제재를 준수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짐이 늘어난 셈이다.
전문가들은 ‘우려거래자 리스트’ 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상시적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특히 무기로도 제조‧개발될 수 있는 전략물자가 포함된 품목에 대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인선 전략물자관리원 선임연구원은 “대러 경제제재가 전략물자뿐 아니라, 금융‧에너지분야 등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며 “제재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우려거래자 파악이나 각국의 제재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