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8일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우리 주력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서 업종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주력산업 경쟁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가전, 통신기기, 자동차 등 주요 업종의 품질과 기술 면에서 중국에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5년 뒤면 그 격차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전의 경우 한국을 100점으로 뒀을 때 현재 중국의 품질 경쟁력은 90점이지만, 5년 후에는 우리가 같은 100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됐다. 기술 경쟁력은 90점에서 97.5점으로 상승한다.
통신기기는 중국의 품질 경쟁력이 90에서 95점, 기술 경쟁력은 92점에서 95점으로 오를 전망이다.
자동차는 현재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 각각 80점과 85로 우리나라보다 15∼20점 낮지만, 5년 후에는 90과 95로 오르며 격차를 10점씩 줄인다.
신산업 대응 경쟁력에서는 5년 후면 철강(95→98점), 석유화학(95→100점), 가전(90→97.5점) 등 다수 업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에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
가격경쟁력은 이미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뒤처져 있다. 다만 5년 후에는 격차가 다소 좁혀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중국이 빠르게 우리나라를 추격할 수 있는 이유는 다양한 형태의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 때문이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제13차 5개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전략' 등에 따라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 고도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대부분 산업에서 중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우리나라를 넘어섰다.
예컨대 자동차는 우리나라가 2013년까지 꾸준히 중국보다 높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2014년 상황(중국 5.6%·한국 5.2%)이 역전됐다.
보고서는 "중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신산업과 신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동시에 각종 규제 완화와 제도 정비 등 우리 정부의 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eun@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