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2/20170502131325333078.jpg)
말벌포획기 설치 모습. [사진=기장군 제공]
아주경제 정하균 기자 = 부산 기장군농업기술센터는 치명적인 독을 품은 '등검은말벌 유인포살 방제기술 시범사업'을 전개한다고 3일 밝혔다.
2003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돼 전국적으로 확산된 등검은말벌은 공격성이 강해 먹잇감으로 꿀벌을 집중적으로 잡아먹지만 천적이 없어 체계적인 방제가 이뤄지지 못했다. 또 독성이 일반 말벌보다 15배 이상 강해 사람이 쏘였을 때는 자칫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 최근엔 아파트와 도심까지 파고들어 말벌집을 짓는 등 안전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엔 기장군농업기술센터에서 등검은말벌 유인포살 방제기술 현장교육 및 연시회를 개최했다. 기장양봉연구회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등검은말벌 포획 우수사례 발표, 유인트랩제작 방법 등의 교육이 진행됐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2/20170502131409752490.jpg)
포획된 등검은 말벌. [사진=기장군 제공]
외래종 말벌인 등검은말벌의 경우 3~5월 봄철 본격적으로 무리를 형성하기 전, 여왕벌이 단독으로 활동하는 특성이 있다. 이 시기에 여왕벌을 포획하면 가을철 수천 마리의 말벌을 제거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기장군 농업기술센터는 기장양봉연구회 양봉장에 360여개의 등검은말벌 포획기를 시범설치·운영 중이며 포획실적이 좋아 양봉농가로부터 호평을 받는다.
기장군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등검은말벌 유인포살 방제기술을 기장군 양봉장 전역으로 시범 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는 등검은말벌 확산을 방지해 양봉농가 피해예방은 물론, 시민들의 안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