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2030 세대 간담회…'적폐세력 연대' 항의에 "그런 적 없어"

2017-05-02 12:22
  • 글자크기 설정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2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2030 희망토크 - 우리 청년이 멘토다' 행사에서 청년들의 고민이 적힌 팻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한때 '청년 멘토'를 자임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2일 청년들을 만나 각종 고충과 요구사항을 청취했다. 참석한 청년들은 취업 등 일자리 고민, 주거난, 대학 등록금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 과정에서 한 대학생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등 범보수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 '적폐세력과의 연대' 입장을 캐묻기도 했다. 안 후보는 자신의 뜻과 다르다고 이를 부인했다.
이날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한 카페에서 '2030 희망토크 - 우리 청년이 멘토다'라는 이름으로 청년들과 간담회를 연 안 후보는 "제가 5년 전 청춘콘서트를 할 때 불공정한 사회구조를 만든 기성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죄송하다고 말씀드렸는데 상황이 더 열악해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 사회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우리 모두 공멸할 거란 위기감도 느낀다"면서 자신이 낸 '청년고용보장제'에 대해 역설했다. 중소기업의 구인난과 청년세대의 실업난을 함께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 취업자들에게 국가에서 대기업 임금의 80% 수준으로 임금 수준을 보장한다는 것이 골자다. 또 취업을 준비중인 청년들은 6개월간 월 30만원씩 교육비를 지원한다는 공약 등도 차근차근 설명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청년들은 창업과 취업 선택과 관련한 고민, 주거문제 등에 대한 고민을 털어놨다.

창업의 경험이 있는 안 후보는 "창업을 할 때 개인이 짊어질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줄여주는 게 국가의 역할"이라며 "특히 금융 관련 위험요소를 줄여야 한다, 실패해도 신용불량자가 되지 않게 만들어야 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낙태가 낙인이 되지 않는 사회를 원한다"는 한 참석자의 얘기에 안 후보는 "사회적 합의점을 정해야 한다"면서 "지금까지 먹고 사는 문제에만 몰두하고 정작 중요한 인권, 생명문제에 너무 등한시했던 게 아닌가 한다, 빠른 시간 내에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답했다.

주거난 해결책으로는 장학금과 주거비, 생활비 3가지를 한데 묶은 '패키지 지원'책을 내놓았다. 매년 5만호씩 청년임대주택을 짓겠다는 공약도 덧붙였다.

한편 반값등록금에 대한 입장을 내달라는 한 여대생의 날카로운 지적도 이어졌다. 

안 후보가 입학금 폐지, 등록금 상한제 도입, 학자금 개선책 및 평생교육 강화 등 자신의 공약으로 답을 대신하자, 이 여대생은 "박근혜정부보다 공약이 오히려 후퇴했다"면서 반값등록금 도입을 약속해 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이 여대생은 "안 후보의 적폐세력과의 연대에 갑갑한 마음이 들었다"면서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도 손잡을 수 있다고 했다"고도 꼬집었다.

안 후보는 "제가 어떤 사람과 연대했죠?"라고 되묻고는 김 전 대표의 얘기에 "저는 제 생각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런 적 없다"고 잘라 말했다. 캠프 측에서는 시간 제한을 이유로 대답을 촉구하는 여대생의 질문을 막으며 행사를 서둘러 마무리했다.

안 후보는 "저는 청년들의 눈물을 보고 처음 정치를 시작했다"면서 "청년들의 마음에 공감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했고 그 초심은 변함이 없다, 약속 꼭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