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유니스트), '초장수명 리튬이차전지 소재개발사업' 선정···56억 확보

2017-04-30 14:54
  • 글자크기 설정

전지소재 혁신 기술 개발...ESS 산업 활성화 기대

UNIST 이차전지 산학연 연구센터 모습. [사진=UNIST(울산과기원)]


아주경제 울산 정하균 기자 = UNIST(총장 정무영)는 '초장수명 ESS용 리튬이차전지 소재 및 셀 공정 기술개발 사업'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UNIST는 4년 간 정부와 울산시, 동서발전으로부터 56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에너지 저장장치(이하 ESS)' 산업 활성화에 나선다.
모든 것이 배터리로 연결되는 'BoT(Battery of Things)' 시대가 도래하면서 ESS가 미래 유망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ESS는 전력 생산량이 많거나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전기를 저장 후 사용량이 많은 시간 또는 비상시에 공급하는 '대형 전지 시스템'이다. 에너지 효율과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나 제작 단가가 높아 사업성 확보가 어렵다.

UNIST 이차전지 산학연 연구센터는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ESS에 적용될 전지소재 혁신 기술을 개발한다. 기존 전지보다 2배 이상 긴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 양극, 음극, 전해액 등 새로운 전지소재 개발에 나서는 것이다.

관련 소재 특허 3건의 출원을 마치는 등 원천 기술을 이미 확보했다. 이를 통해 전지의 충․방전 횟수를 기존 3000회에서 2배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제작 단가도 낮춘다는 게 연구센터의 계획이다.

전지소재의 상용화 및 양산 가능한 셀 공정 기술도 개발하기 위해 참여기업과 연구소, 대학과의 공동연구도 추진한다.

서울대(양극), 유미코아(양극), SJ신소재(음극), 천보(전해액) 등과 소재 관련 공동연구에 나선다. 초장수명 전지의 수명을 평가하는 '가속수명 평가법'은 전기연구원, 명지대와 함께 개발한다. 이후 삼성SDI와 초장수명 전지 셀을 개발하고, 동서발전 및 삼성SDI와 이를 실증해 ESS의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다.

사업을 총괄하는 조재필 이차전지 산학연 연구센터장(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은 "울산시가 ESS의 무궁무진한 미래 가치를 알아보고, 선제적으로 지원해준 덕분에 UNIST가 세계 최고의 연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다"며 "동서발전 등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력 하에 에너지 저장장치 산업을 전 세계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초장수명 ESS용 리튬이차전지 소재 및 셀 공정 기술개발 사업'은 산자부와 에너지평가관리원이 주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