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27/20170427141257781062.jpg)
SK케미칼 관계자가 PETG·ABS 컴파운드 소재가 적용된 스티어링 휠 베젤을 선보이고 있다.[사진=SK케미칼 제공]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SK케미칼이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복합재를 통해 자동차 부품 소재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케미칼은 최근 개발한 PETG·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복합재가 2017년형 국산 중·대형 신차종과 하이브리드 자동차 운전석 내장재에 처음 적용됐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자동차 제조사들은 운전석 내장재에 방향제나 선크림 등 다양한 화학성분 접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높은 수준의 내화학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여름철의 경우 자동차 실내 온도가 70도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어 고온에서도 변형될 우려가 없는 내장재 적용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SK케미칼이 개발한 PETG·ABS 복합재는 기존 PC·ABS 복합재보다 높은 내화학성과 우수한 내열도, 물성 등을 자랑한다. 이러한 이유로 2017년형 신차종의 스티어링 휠과 윈도우 스위치패널, 도어 트림 등에도 적용됐다.
SK케미칼은 추가적인 용도 개발을 통해 다양한 차종과 부품에 PETG·ABS 복합재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한대근 SK케미칼 EP사업팀장은 "현재 4종의 국산 중·대형 차량 내장재에 PETG·ABS 컴파운드가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10여종의 차량에 확대 적용을 검토 중이다"라며 "현재 2만t에 연평균 5% 성장률로 추정되는 국내 자동차 내장재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 소재 시장에서 향후 5년 내에 PETG 복합재로 시장의 20%를 대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