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현대상선이 싱가포르 터미널 운영사인 PSA와 부산신항 터미널 하역료 놓고 갈등을 빚으면서 옛 해운강국 명성 되찾기에 차질을 빚고 있다.
25일 현대상선에 따르면 PSA가 부산신항만의 다른 터미널을 이용 중인 경쟁 해운사들보다 높은 하역료 인하를 요구하고 있어,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할수록 적자를 감수해야 하는 예상 밖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PSA와 맺은 계약상의 독소조항에 따라 부산에서 수송하는 수출입화물과 환적화물을 모두 신항의 PSA HPNT(4부두) 터미널에서만 하역해야만 한다.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것에 대해 현대상선은 정부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자구안에 따른 결과라고 밝혔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당초 터미널 지분 50%+1주를 가진 최대주주였으나 지난해 국적선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당국과 채권단의 자구안을 통한 현금화가 시급한 시점이었다”라며 “결국 PSA에 40%+1주를 800억원에 매각했다”고 토로했다.
현대상선에 따르면 이번 계약 조건은 매년 최소 보증물량인 20피트 기준 컨테이너 70만개를 충족해야 한다.
또 이를 초과하는 물량 전부를 PSA 터미널에서만 처리해야 한다는 조항도 현대상선의 발목을 잡고 있다.
아울러 하역료도 시장 상황에 따른 유동 비율이 아닌 매년 일정 비율로 인상을 해줘야한다.
이 같은 내용이 계약서에 있어 현대상선은 상대적으로 값비싼 하역료를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반대로 부산신항만의 하역료는 올해 들어 글로벌 해운동맹이 대대적인 재편을 거치며 평균적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또 현대상선은 독소조항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이 늘어도 300억원대 추가 비용을 PSA 측에 지불해야만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타부두 사용금지 독소조항에 발이 묶여 해운강국의 명성을 되찾을 국적선사의 고사위기가 찾아왔다”며 “환적비용이 저렴한 상하이 등 대체항만을 찾고 있는데, 이는 부산항 발전에도 적신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