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수산업 종사자 104만명…매출액은 66조원

2017-04-17 11:08
  • 글자크기 설정

해수부, '2015년 기준 수산업 실태조사' 발표

이미지 확대
[사진 = 아주경제DB]

[사진 = 아주경제DB]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해양수산부는 '2015년 기준 수산업 실태조사' 결과 수산업 전체 종사자 수가 총 104만 4000명으로 산출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어업, 수산물 가공업 등에만 한정돼 실시되던 통계 조사 범위를 확대해 수산물 기자재 산업, 서비스업 등 연관 산업 실태까지 포함해 실시됐다.
총 8개 수산 분야 6117개 사업체와 2135명의 어업인을 표본으로 2015년 말 기준 종사자 수, 매출 등을 산출했다.

업종별로 보면 수산물 생산업 종사자가 64만5000명으로, 전체 종사자의 62%에 달했다.

이어 수산 관련 서비스업(12.2%), 수산물 유통업(12.1%) 등이었다.

전체 사업체 수는 12만5000개로, 수산업 사업체(8만9000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연관산업 사업체 수는 3만7000개로 나타났다.

연령 분포를 보면 50대가 34.2%로 가장 많고, 60세 이상(28.3%), 40대(22%)가 뒤를 이었다. 전체 종사자의 절반을 훨씬 웃도는 62.5%가 50~60대인 셈이다.

평균 수산업 종사 기간 역시 25.5년으로 긴 편이었고, 30년 이상 종사한 어업인은 전체의 47.8%나 됐다.

2015년 기준 수산업 총 매출액은 65조9000억원으로 같은 해 국가 전체 매출액의 1.2%를 차지했다.

수산업 관련 사업체의 자산 총액은 215조 8000억원으로 규모가 큰 편이었으나, 이 중 부채가 자산 대비 60%가 넘는 131조9000억원이었다.

사업체별 연평균 영업 이익은 5천618만 원, 전체 영업 이익은 7조313억원으로 집계됐다.

최완현 해수부 수산정책관은 "이번 조사는 수산업 전반의 경영현황을 보여주기 위해 처음으로 실시된 것"이라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수산업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제작해 관련 기관에 배포하고 해양수산부 통계시스템(www.mof.go.kr/statPortal) 및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게재하는 한편 앞으로 매년 수산업 실태조사를 발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