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효종갱 [사진=한국문화재재단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17/20170417101951136146.jpg)
효종갱 [사진=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겨우내 잃었던 입맛을 되찾는 데는 봄과 꼭 어울리는 음식이 제격. 가성비 높은 한식 메뉴가 나와 눈길을 끈다.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직무대리 이향수)이 운영하는 전통문화복합공간 한국의집(관장 한운기)은 지난 3월 28일부터 1만 원대의 오찬 신메뉴 3종(△효종갱 △백화고 갈비 △본골동반)을 출시했다.
이미지 확대
![백화고 갈비 [사진=한국문화재재단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17/20170417102020811415.jpg)
백화고 갈비 [사진=한국문화재재단 제공]
표고버섯 중 최고의 상품으로 불리는 백화고는 자연재배만 가능한 귀한 버섯으로, 주로 이런 최상급의 버섯만이 수라상에 오르는 진상품으로 사용됐다. 백화고 갈비는 조선시대 최고의 식재료 중 하나인 소고기를 채 썰고, 이를 백화고와 함께 뭉쳐 숯불에 구워낸 음식으로 그 향과 맛이 일품이다.
'때를 먹는다'는 의미의 시식(時食)은 제철에 맞춰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이다. '동국세시기' 같은 세시풍속서에서 이러한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봄에는 겨울철 부족한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해 봄나물 같은 음식을 먹었다고 기록돼 있다. 민들레, 방풍, 유채, 달래, 돈나물, 세발나물 등 나물마다 효능이 제각각이므로 부족한 섬유질, 비타민, 무기질 등이 골고루 채워지도록 밥과 함께 한데 모아 비벼먹는 봄골동반이 효과적인 봄의 시식으로 손꼽힌다.
이미지 확대
![봄골동반 [사진=한국문화재재단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17/20170417102045859700.jpg)
봄골동반 [사진=한국문화재재단 제공]
김도섭 한국의집 궁중음식보급팀장은 "한국의집은 전통음식을 보존하고 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곳으로, 앞으로도 내․외국인이 한국의 진짜 전통음식을 많이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식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한국의집 1957오찬메뉴는 효종갱(1만5000원), 백화고갈비(1만7000원, 1일 30인 한정), 봄골동반(1만5000원)으로 구성됐다. 문의 02-2266-9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