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볍씨 소독 전 2일간 침종부터 실시해야”

2017-04-12 09:20
  • 글자크기 설정

- 충남도 농업기술원, 키다리병 발병율 64% 감소 효과 확인

▲볍씨소독[사진제공=충남농기원]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키다리병의 발병률 감소와 묘소질 향상을 위해 볍씨를 소독할 때 침종을 우선 실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12일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마른종자를 바로 소독했을 때보다도 2일 침종한 다음 소독하면 키다리병 발병률이 64%가량 줄고, 묘의 키가 1.8㎝정도 작아져 묘충실도가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침종은 종자 내부에 수분을 공급해 싹을 틔울 때 일시에 트게 해 묘를 균일하게 해주며, 볍씨 내부에 있는 발아억제물질이나 유기산등을 배출시켜 발아를 돕는 효과도 있다.

 왕겨를 절단해 내부 단면을 보면 수많은 방으로 이뤄져 있으며 현미와 왕겨사이에도 틈이 있다.

 이 공간이 침종을 통해 물로 채워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종자 밖에 있는 약제 성분들이 종자내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마른종자를 바로 소독할 때보다 이동이 빠르고 쉬워 소독효과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도 농업기술원은 볍씨 소독 전 2일간 15∼16도의 물에 볍씨를 담그는 방식으로 침종을 우선 실시해줄 것을 당부했다.

 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정종태 연구사는 “건강한 묘 생산이 농사의 절반”이라고 강조하고 “최근 기상여건 호조 및 방제 철저로 키다리병이 많이 줄어든 것이 사실이나 병원균들이 약제에 대해서 자꾸 내성을 가지기 때문에 종자소독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