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06/20170406091413465433.jpg)
[표=한국은행 제공]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최근 2금융권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금융권의 경우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출 금리가 높기 때문에 가계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가계부채 상황 점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1344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141조원(1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 가계대출 증가율은 8.5%(44조1000억원)에서 9.5%(53조7000억원)로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비은행의 수신이 늘어나면서 대출 영업이 확대된 데다 은행권 여신심사 강화로 인해 대출 수요가 비은행으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1~2월 비은행 가계대출은 2조4000억원으로 늘어 전년 동기(1조9000억원)에 비해 증가 규모가 커졌다. 반면 은행 가계대출은 1~2월 3조원 증가해 전년 같은 기간(5조원)에 비해 축소됐다.
다만 한은은 "정부·감독당국의 비은행 가계대출 관리 강화가 시차를 두고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며 "또 대출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으면서 차입 수요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수준과 증가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9.0%로 OECD 평균 129.2%를 크게 상회했다.
2010~2015년 중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우리나라가 21.4%포인트를 기록, -0.5%포인트의 OECD 평균보다 컸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우리나라가 91.0%로 OECD 평균(70.4%)과 비교해 높았다.
한은은 정부의 가계부채 구조 개선 노력으로 은행 주택담보대출 중 고정금리·분할상환의 비중이 상승하는 등 질적으로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2014년 말 23.6%에서 작년 말 43.0%로 확대됐고, 분할상환 비중은 이 기간 26.5%에서 45.1%로 상승했다. 또 가계부채 분포를 보면 채무상환 능력이 양호한 상위계층에 부채가 집중되고 있다.
작년 말 현재 전체 가계부채 중 소득 및 순자산 4~5분위 가구(상위 40%)의 부채 점유비중이 각각 69.9%, 60.8%로 나타났다. 또 전체 가계부채 중 1~3등급 고신용 차주의 부채 점유 비중이 65.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