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시에 따르면 김해신공항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은 김해신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해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를 대심도 터널로 연결하는 총 연장 22.8km의 지하고속도로건설 사업이다. 시는 약 2조원의 총 사업비를 투입, 2021년 착공해 김해신공항 개항시점인 2026년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GS건설에서 국토교통부에 제안서를 제출해 시의 의견을 개진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23/20170323155836853693.jpg)
김해신공항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구간. [사진=부산시 제공]
이번 지하고속도로는 왕복 4~6차로로 김해신공항과 해운대 간 현재 1시간 20분대에서 30분대로 통행시간을 단축시켜 주민의 생활권 및 정주공간의 확장변화로 지역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사상, 학장, 진양, 시민공원, 벡스코, 좌동, 송정, 기장 등 8개소에 유·출입시설이 설치돼 만성교통체증에 시달리는 인접도로인 황령터널, 광안대교, 장산로 등의 교통량 30% 정도를 흡수해 주요간선도로의 기능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사상스마트시티와 연계해 도로주변상권이 활성화되고 김해공항 관문도로의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이번 도로의 주요기능인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 연결을 정부(국토교통부) 사업으로 추진해 4000억원의 국비를 유치하는 효과가 발생할 뿐 아니라 4만명의 고용 효과, 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9조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시는 부산발전연구원의 면밀한 검토와 시의회, 교통전문가, 시민 등의 다양한 의견수렴절차를 거쳐 국토교통부에 공식적인 의견을 전달할 방침이다.